외국인·기관 매도 공세…삼성전자 52주 신저가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784호 06면

1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3거래일 만에 다시 2700선이 무너져 2696.06에 장을 마쳤다. [뉴스1]

1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3거래일 만에 다시 2700선이 무너져 2696.06에 장을 마쳤다. [뉴스1]

올해 1분기 영업이익 14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50.32% 증가. 지난해 3년 만에 인텔을 제치고 매출 기준 세계 반도체 시장 1위 탈환(가트너 조사). 삼성전자의 최근 경영 성과다. 그런데 이 같은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 주가는 바닥을 모르고 내리고 있다.

15일 삼성전자 주가는 전일대비 900원(1.33%) 내린 6만6600원에 장을 마치며 사흘 만에 또 다시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이 영향으로 코스피는 전날보다 0.76% 내린 2696.06으로 마감했다. 2700선이 무너진 건 지난 12일(2666.76) 이후 3거래일 만이다.

삼성전자 주가는 외국인·기관이 끌어내렸다. 올해 들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조8445억원, 6조227억원을 순매도했다. 이날도 외국인은 2037억원, 기관은 2406억원을 내다 팔았다. 외국인·기관의 이 같은 매도세는 인플레이션과 세계경제 둔화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유우형 KB증권 연구원은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으로 반도체 전방산업인 IT 완제품의 수요 감소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SK하이닉스, 미국의 마이크론, 대만의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모두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최근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연초 대비 18.32% 하락했고 미국 뉴욕증시의 마이크론은 24.71%, TSMC 18.24%, 엔비디아 27.72% 하락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영우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신흥국에 투자를 할 필요가 없어지고, (외국인이) 한국에서도 매수보다는 매도를 택할 것”이라며 “매도를 한다면 시가총액이 높고 기존에 투자를 많이 했던 삼성전자가 1순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삼성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여겼던 파운드리(위탁생산) 부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파운드리 세계 1위 TSMC와의 기술·설비투자 격차가 더 확대되고 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인텔의 대규모 투자 계획도 불안한 변수 중 하나”라며 “미국의 반도체 전략이 아시아 의존도 축소로 방향을 돌린 것이라면 삼성전자에게는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그러나 2분기부터는 주가가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나온다.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은 “4나노 공정의 수율(收率) 개선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2분기부터는 주가도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