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다음 거리두기 조정부터 본격 완화조치 검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3일 서울 명동의 한 카페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단축운영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일 서울 명동의 한 카페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단축운영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4일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오후 10시에서 11시까지로 1시간 연장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한 가운데, 2주 뒤에는 본격적인 완화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거리두기 조치를 전면 완화, 해제하는 것은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해 최소한도로 조정했다”며 “다음번 거리두기 조정부터는 본격적으로 완화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 통제관은 “아직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이 나타나지 않았고, 향후 2∼3주 이내에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의료대응 여력이 충분히 유행을 감내할 수 있다고 평가하기 전까지는 (전면 완화 시행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주요 내용.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사회적 거리두기 주요 내용.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럼에도 거리두기를 다소 완화한 것은 고강도 거리두기가 11주째 이어지면서 자영업자·소상공인 피해가 크다는 판단에서 결정했다고 이 통제관은 전했다.

이 통제관은 2주 뒤 거리두기 완화 방침에 대해선 “오미크론의 빠른 전파력으로 거리두기 효과성이 매우 떨어지면서 거리두기 조정이 이전과 달리 유행 규모나 시기에 미치는 영향력도 점차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거리두기 완화 조치 역시 유행의 전반적인 확산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했다. 이 통제관은 “질병관리청에서 조사한 결과, 거리두기 조치를 이처럼 완화한다고 하더라도 완화 요인이 유행에 미칠 영향은 10% 이내로 보고 있다”며 “10% 수준이면 현재의 의료대응체계 내에서도 감내할만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