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16년 연속 톱, LG 올레드는 더블 성장…이번에도 韓 TV가 ‘싹쓸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모두 합쳐 금액 기준 48%, 판매 대수 기준 32%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사진 삼성전자·LG전자]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TV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모두 합쳐 금액 기준 48%, 판매 대수 기준 32%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사진 삼성전자·LG전자]

지난 한해 전 세계에서 팔린 TV 판매액의 절반가량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는 29.5%의 시장점유율(금액 기준)로 1위를 차지했다. 2006년 이래 16년 연속으로 세계 1위를 지켰다. LG전자는 18.5%로 2위에 올랐다. 두 회사의 점유율을 더하면 48%로 30여 개가 넘는 TV 브랜드 판매액 전체의 절반에 달한다. 3위 소니(9.5%)와 큰 격차가 난다.

삼성·LG 더하면 48% 점유율 

특히 LG전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올레드) TV의 출하량이 급증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이 회사의 올레드 TV 출하량은 404만8000대로 2020년 204만8000대에서 갑절로 늘었다. 지난해 전체 TV 출하량이 2억1353만7000대로 전년보다 1193만여 대(5.7%)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올레드 TV의 약진이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판매된 LG 올레드 TV의 평균판매단가(ASP)는 1861.7달러(약 222만원)였다. 액정표시장치(LCD( TV의 ASP 507.7달러(약 60만원)와 비교하면 세 배가 넘는다. 더욱이 글로벌 올레드 TV 시장은 전년 대비 80% 이상 성장하는 등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에 따라 LG전자의 금액 기준 점유율은 전년보다 2%포인트 상승했다.

전세계 TV 판매액 절반은 삼성.LG.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전세계 TV 판매액 절반은 삼성.LG.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삼성전자는 주력인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TV를 앞세워 수성에 성공했다. 다만 금액 기준 시장점유율(29.5%)은 전년도보다 소폭 하락했다. 최근 삼성의 점유율은 2017년 26.5%, 2018년 29%, 2019년 30.9%, 2020년 31.9%였다. 수량 기준으로 따지면 전체 TV 시장의 19.8%가 삼성이 만든 제품이었다.

삼성 측은 “QLED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판매 전략이 유효했다”고 말했다.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 QLED TV는 943만 대가 팔렸다. 2017년 첫 출시 때 80만 대에서 이듬해 260만 대, 2019년 532만 대, 2020년 779만 대로 판매량이 꾸준히 늘고 있다.

삼성은 초고가, LG는 올레드 ‘주목’

올해도 두 회사는 프리미엄 TV를 앞세워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지난해 1500달러(약 179만원)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전체 올레드 진영의 점유율은 37.4%로 QLED TV 36.9%를 소폭 앞선 상황이다. 옴디아는 올해 올레드 TV의 비중이 42.1%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초고가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에 주목한다. 삼성은 지난해 2500달러(약 299만원) 이상 TV 시장에서 42.1%의 점유율을, 80형 이상 초대형 TV 시장에서 44.9%의 점유율(이상 금액 기준)을 기록하며 시장을 선도했다. 연간 300만 대가량이 팔리는 고부가·초고가 시장에서 승부를 보겠다는 전략이다.

한편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올레드 TV 시장 진입 여부도 관심사다. 삼성의 퀀텀닷(QD)-OLED TV 제품 출시 여부를 두고 박형세 LG전자 HE(홈엔터테인먼트) 사업본부장은 지난달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삼성의 OLED 시장 진입을 환영한다”며 자신감을 비치기도 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출시 관련 발표는 없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