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블룸버그, 오보 소동에 사과

중앙일보

입력

블룸버그 통신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오보를 캡처한 트위커 게시물.

블룸버그 통신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오보를 캡처한 트위커 게시물.

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러시아와 미국 등 서방국가들 간의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블룸버그 통신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는 오보를 냈다.

4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쯤 블룸버그의 홈페이지 첫 화면 최신 기사란에 '실시간: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이라는 제목의 속보가 게재됐다.

러시아의 국제정치 분석가인 올가 로트만에 따르면 이 기사를 클릭하자 '내부 서버에 오류가 발생해 요청을 수행할 수 없다'는 페이지로 연결됐다.

문제의 기사는 30여 분만에 기사 목록에서 사라졌다. 로트만은 트위터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제목의 기사가 약 30분 이상 게재됐다가 결국 내려갔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나"라고 썼다.

로트만은 "나는 우크라이나 측과 연락하고 있어 속보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러시아의 침공 가능성에 모두가 긴장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상당히 큰 실수"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실수로 미리 제작해 놓은 기사가 노출됐다"고 해명하고 이용자에게 사과했다.

블룸버그는 홈페이지에 "(우크라이나 사태의) 여러가지 시나리오를 두고 제목을 준비했고 이 중 하나가 부주의하게 오후 4시쯤 홈페이지로 송고됐다. 이런 오류를 보여 매우 유감스럽다"라는 글을 올렸다.

우크라이나군의 재블린 발사 훈련. 우크라이나군 페이스북 계정 캡처

우크라이나군의 재블린 발사 훈련. 우크라이나군 페이스북 계정 캡처

이에 대해 러시아의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5일 타스통신을 통해 블룸버그의 사과문을 언급하면서 "이를 도발로 보기는 어렵고 나서서 과장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다만 이번 사태는 워싱턴, 유럽의 수도들 그리고 런던으로부터 매일 들려오는 공격적인 발언으로 촉발된 긴장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고 있다"며 "긴장 국면에서는 사소한 불꽃도 조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