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삼계탕 이어 한복이 조선족 복식?…中바이두의 우기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복을 '조선족 복식'이라고 설명하는 사진(왼쪽)과 한복을 중국 전통의상으로 소개하는 패션쇼 사진. [사진 서경덕 교수]

한복을 '조선족 복식'이라고 설명하는 사진(왼쪽)과 한복을 중국 전통의상으로 소개하는 패션쇼 사진. [사진 서경덕 교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한복을 ‘조선족 복식’이라고 소개한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百度)에 항의 메일을 보냈다.

서경덕 교수는 바이두에 항의 메일을 보내 한복을 ‘한국의 전통의상’으로 올바르게 수정할 것을 요구했다고 7일 밝혔다.

바이두는 백과사전 사이트에 “한복은 ‘한푸(중국의 전통의상)’에서 기원했다”, “조선족 복식은 중국 조선족의 전통 민속으로 중국 국가급 무형 문화재 중 하나”라고 소개했다.

서 교수는 이에 바이두 측에 보낸 메일에 한복과 관련한 역사적 자료를 첨부해 한복이 한국의 전통의상인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역사적인 팩트(사실)를 인정하고 올바른 사실을 중국에 알리라”고 지적했다.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에 한복을 '조선족 복식'으로 소개하고 있다. [자료 서경덕 교수]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에 한복을 '조선족 복식'으로 소개하고 있다. [자료 서경덕 교수]

서 교수는 “중국이 한복을 자국의 것으로 왜곡한다고 비난만 할 것이 아니라 잘못된 주장을 당당히 지적해 올바르게 바꿔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바이두 외에도 중국의 여러 업체가 한복을 거듭 자국의 것이라며 잘못된 주장을 펼치고 있다. 중국 업체가 개발한 딥 페이크 앱 ‘페이스플레이’에는 한복 사진 위에 ‘조선족’이라는 표기가 돼 있었다. 또 중국 옌볜의 한 쇼핑몰은 한복을 중국의 전통 의상으로 홍보하는 패션쇼를 열기도 했다.

바이두는 뿐만 아니라 김치와 삼계탕도 중국에서 기원했다고 왜곡 주장하고 있다. 또 윤동주 등 여러 독립운동가도 ‘조선족’이라고 왜곡한 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