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홍보ㆍ왜곡보도 억제 목적/경제부처 정보지 발간 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설득보다 선전위주땐 역작용
정부 각부처 사이에 국민을 상대로한 정보지 발간과 광고활동이 활발하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경제부처들은 정책홍보나 부처내 의사소통을 위해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거의 빠짐없이 「뉴스」 「소식」지 등을 내고 있다.
각부처가 이처럼 홍보활동에 부쩍 열을 내기 시작한 것은 작년이후로 우리사회가 민주화과정에 접어들면서 과거의 일방통행식 정책집행에서 이제는 국민이나 사회여론 형성층의 이해나 지지없이는 아무리 좋은 정책을 내놓아도 실효를 거두기 어렵기 때문. 또 여기에는 신문ㆍ방송ㆍ잡지 등 기존 여론매체가 늘어나면서 같은 정책을 놓고도 서로 다른 시각과 비판은 물론 과열경쟁으로 정책이 왜곡보도된다는 정부나름의 불만이 작용하고 있다.
경제기획원ㆍ재무ㆍ농림수산ㆍ상공부 등 경제부처들이 지난해 각종정보지 발간ㆍ광고에 쏟은 돈도 10억원 가까이에 이르고 있다.
경제부처들중에서 정책홍보에 가장 열중하고 있는 부처는 아무래도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경제기획원과 전체인구의 20% 가까운 농어민을 정책대상으로 하고 있는 농림수산부.
기획원은 대국민,또는 부처내 의사소통을 위해서만도 「주간 경제여론」 「경제뉴스」 「경제동향보고」 「경제여론동향」 등 가장 많은 간행물을 발간하고 있다.
기획원은 대국민설득 없이는 경제정책수행이 어렵다는 측면에서 지난해 경제교육기획국과 산하 출연연구기관으로 국민경제제도 연구원을 신설,조직개편까지 단행했다. 이중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정보지는 작년 6월 발간된 「경제뉴스」로 지난 5월 「이승윤부총리의 관훈토론회 기조연설」을 담은 12호까지가 나왔다. 토지공개념도입등 주요경제이슈가 있을 때마다 발간,중앙부처ㆍ각시군청ㆍ학계ㆍ기업체ㆍ종교기관ㆍ중고교교사들에게 배포,처음 1만부 발행에서 현재는 7만부로 발행부수가 늘었으며 일요일 교회에서 목사의 설교에도 인용될 정도다.
또 농림수산부의 「농정소식」은 주로 농어촌 정책소개 및 해설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월1회 3만5천부를 발간,전국 읍ㆍ면이나 농ㆍ수ㆍ축 단협까지 배달되고 있다.
이밖에 대외용이라기보다 부처내 소식지로서 성격은 다르지만 건설부도 작년 1월부터 「건설가족 소식」을 주간으로 발간하고 있으며 상공부도 격주간 「상공소식」을 창간,지난 1일 첫호를 냈다. 재무부도 세금문제등에 대한 정책홍보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작년 9월부터 「재정금융뉴스」를 부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경제부처들의 이같은 정책홍보활동은 정보소통의 원활화라는 면에서 대체로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으나 문제점이 없는 것도 아니다. 「팔이 안으로 굽는 격」으로 정확한 사실 전달보다 선전에 빠지기 쉽고,또 지난 4월 「금융실명제 실시유보」처럼 하루아침에 정책변경을 단행,홍보에 혼선을 초래한 경우도 있다. 국민들에게 경제홍보활동의 신뢰를 심는데도 정책의 일관성 유지가 중요함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장성효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