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과 따로노는 문화정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오늘로 문화부가 출범한지 1백일.
그동안 1개 지방군단위의 예산규모(90국가예산의 0.34%)로 29개의 사업을 추진,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있는것은 대단한 일이긴 하다.
그러나 상당수의 문화인들로부터 전시행정이라느니 관제문화의 양산이라느니 비난이 거센것도 사실.
출범 1백일밖에 안된 부처를 놓고 왈가왈부하는것은 물론 성급한 일이긴 하나 문화정책의 방향에 대해서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것이 바람직하다는게 중논이다.
○…이어령문화부장관은 문화부의 가시적 성과를 다음 세가지로 정리.
첫째, 문화부내의 업무수행과정에서 언어사용·환경조성등 작은 것에서부터 외국냄새를 추방.
둘째, 예산뒷받침없이 벌일수있는 사업의 추진. 서울시와 담판, 과천국립미술관 진입로를 직선으로 확보해 관람객수를 두배로 늘렸고 기업체의 지원으로 각종문화행사를 수록한 문화달력발행등이 그것.
셋째, 움직이는 박물관·미술관·국악원행사등 국민을 찾아가는 능동적인 행사진행방식의 도입.
○…그러나 이같은 문화부의 「자랑」에 대해 상당수 문화인들은 역사성이 결여된 미시적 안목의 성과라고 크게 우려.
이들은 문화부가 먼저 사대주의적·친일적 문화유산의 정리, 사회계층간 문화갈등의 해소와 퇴폐일변도의 대중문화선도책 마련, 현 문화계 실태파악에 나서줄것을 희망.
통일지향적이고 21세기에 대비하는 거시적 안목의 정책마련 또한 어느 문화시책보다 시급하다는것도 이들의 지적이다. 문화부는 이같은 지적에대해 이달말께 문화발전 10개년계획을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겠다고.
아무튼 문화부는 여론에 겸허하게 귀를 기울여 국민 모두의 사람과 동참을 유도할수있는 문화정책을 펴나가야 한다는게 문화예술인들의 공통된 바람이다. <김우종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