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주장,저런하소연] 내신 불리한 자립형 사립고 … 대책 마련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3면

인성 교육을 중요시하는 점, 잘 짜인 사회 명사들의 특강과 정규 수업 중 이루어지는 풍부한 독서량 등이 마음을 끌었다. 3년 동안 기숙사 생활을 하며 전국에서 온 아이들과 다양한 교류를 통해 청소년기의 아름다운 추억과 훌륭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는 자양분을 쌓을 수 있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쾌적한 교육 환경, 훌륭한 학교 시설과 교사진 등 확실히 좀 더 나은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겠다 싶어 아이를 학교에 입학시켰다. 역시나 아이는 생각했던 대로 선의의 경쟁 속에서 나름대로 만족하며 잘 지내고 있다.

하지만 마음속 한가운데에는 자립형 사립고라는 특성상 아이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교육 시스템에 대한 불안감이 늘 자리 잡고 있다. 1학기를 마치고 아이의 성적표를 받아들었을 때 내신을 잘 받기가 얼마나 힘든지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다. 전국 수능 모의고사 성적이 아이들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듯 우수한 아이들이 많이 몰려 있다 보니 상대평가의 불리함을 고스란히 떠안고 가야 하는 상황이 그대로 노출된 것이었다. 방학 때 집에 와 있던 아이에게 내신의 불리함을 이야기하며 은근히 전학 권유를 해 봤다. 아이는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내가 좀 더 노력하면 더 나은 내신 성적을 받을 수 있고 본인이 원하는 대학의 학과에 진학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적인 대답을 하며 오히려 나의 불안한 마음을 다독였다. 물론 아직 좌절을 겪어보지 못한 아이의 순수함과 치기 어린 마음이 섞여 있는 대답임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그런 아이를 보면서 '노력하는 만큼 결과가 따라 주지 못하면 어떡하나'는 걱정이 떠나지 않는다.

현재 자립형 사립고는 시범 기간이 2년 더 연장되다 보니 확실성도 없이 마치 대학 입학의 사각지대에 버려진 소외감이 든다. 분명 하늘에서 뚝 떨어진 정책은 아닐 텐데 정부의 배려가 너무 없다고 느껴진다. 아이들이 노력한 만큼의 결과는 얻을 수 있는 교육 제도가 조금이라도 뒷받침돼 교육 정책의 희생양이 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그래서 자립형 사립고에 들이대는 불공평한 잣대가 지금도 무한한 가능성에 도전하며 꿈을 키우고 있는 아이들에게 걸림돌이 되지 않기를 기원해 본다.

<끝>

이영남(46·주부·서울 서초구 서초동)

◆'이런 주장 저런 하소연'은 이번 주로 끝납니다. 다음주부터는 '학습.진로 상담방'이 신설됩니다. 학습법이나 진로 등과 관련한 상담을 받고자 하는 분은 사연과 함께 성명. 직업.나이.주소.전화번호를로 보내주세요. 매주 한 분씩 골라 '에듀플렉스''와이즈멘토'의 전문가들이 지면 상담해 드립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