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타이가 밥 먹여주나?" 힘빠진 사무직, 부러운 생산직

중앙일보

입력

"예전에는 넥타이를 멘다는 자부심이라도 있었죠.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미 보수가 (거의)같아진 마당에 그깟 폼이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올해로 입사 19년째를 맞은 한 대기업체 부장의 얘기다.

생산직 근로자들이 스스로를 "기름밥 인생"이라며 자조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정유·자동차·전자 등 소위 장치산업의 경우 업종의 특성에다 전문기술, 노조원의 신분 등으로 정년이 보장되는 편이다. 일부 기업체에서는 월급이 사무직 근로자를 앞지르는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고 서울신문이 8일 보도했다.

자신들을 '사오정(45세 정년) 인생'이라고 부르는 소위 화이트 칼라들은 이제 생산직 근로자들을 "보험든 인생"이라며 부러워한다. 모든 생산직 근로자들의 복지가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정유 자동차 전자 등 소위 장치산업에 속하는 대기업 생산직 근로자들이 부러움을 받는다.

◇생산직 근로자들이 승진을 기피하는 이유

사무직이 생산직을 부러워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고용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A제조업체 직원의 얘기다. "사무직은 언제 잘릴지 모르지만 생산직은 특별한 잘못이 없는 한 58세 정년을 꽉 채웁니다. 일손이 달릴 때는 정년퇴직 후에 재채용되기도 합니다. 반면에 소속부서가 없어지거나 무슨 일이 터지면 당장 짐을 싸야 하는 게 관리직의 운명입니다. "

실제 B자동차회사에서는 임원 1명이 최근의 파업사태 책임을 지고 옷을 벗었다. 임원은 '임시직원'의 준말이라는 자조가 나올 법도 하다.

상황이 이쯤되다 보니 일부 생산현장에서는 과장 승진을 기피하는 기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C정유사의 관계자는 "과장으로 승진하면 노조에서 자동 탈퇴하게 돼 이때부터는 승진연한에 맞춰 반드시 승진해야 하는 등 정년과 신분이 보장되지 않는다. "면서 "울산공장에 15년 이상된 고참 대리가 많은 것은 이 때문"이라고 전했다.

화섬업계의 맏형으로 꼽히는 ㈜코오롱은 사규에 정해진 정년에서도 생산직(56세)이 사무직보다 1년가량 더 길다.

◇"넥타이가 밥먹여주나…" 월급도 역전

LG전자의 사무직 10년차(과장 3년차) 연봉은 4200만원 수준. 같은 연차의 생산직 연봉은 4500만원 정도로 사무직보다 7%가량 더 많다. 성과급과 초과 근무, 연월차 등 각종 수당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전자.자동차.정유.철강 등 많은 업종에서는 생산직에만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한다. 임금단체협상 타결로 얻는 '부수입'도 적지않다. 직종간 기본급 차이는 거의 없어졌다. 이 때문에 생산직 연봉이 관리직을 웃도는 사례가 적지 않다. F정유사의 경우, 소수이지만 20년쯤 근무한 총반장(대리)의 연봉이 1억원을 넘는다. 이 정도 경력이면 사무직은 보통 부장급이다. 이들의 연봉은 8000만원선. 농반진반으로 '굵고 가늘게'(보수 많고 정년길다는 뜻)라는 말이 나올 만도 하다.

올해 관리직 임금을 동결한 G자동차사는 생산직과의 임금 격차가 커지자 "최소한 차액은 회사에서 보전해주겠다. "며 관리직을 달래고 있다. 이 회사의 12년차 과장은 "사무직 중에서도 과장급 이상은 노조와 회사 사이에 낀 샌드위치 인생"이라며 "노조의 보호도, 그렇다고 회사의 배려도 받지 못해 소외감과 자괴감을 느낄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라고 털어놓았다.

디지털뉴스 (digita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