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백신 미접종자 공공장소 출입금지 '초강력 규제'

중앙일보

입력

한 남성이 지난해 12월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 [AP=연합뉴스]

한 남성이 지난해 12월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 [AP=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가 내달부터 전세계에서 가장 전면적인 백신 의무화 정책을 다음 달 도입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델타 변이 확산 등을 고려한 것으로, 서방 국가들이 정부의 강력한 코로나19 규제를 비판하는 시위에 직면한 것과 상반된 조치라고 WSJ는 전했다.

WSJ에 따르면 사우디 국민들은 다음 달 1일부터 공공장소에 드나들기 위해 최소 1회 이상 백신 접종을 증명하는 모바일 앱을 제시해야 한다. 여기에는 대중교통과 학교ㆍ상점ㆍ대형몰ㆍ시장ㆍ레스토랑ㆍ카페ㆍ콘서트장 등이 포함된다고 한다. 또 오는 9일부터 해외로 출국하려면 백신 2회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사우디는 이전에도 마스크 의무화 등 강력한 규제책을 도입한 적이 있다고 한다. 이를 어길시 개인과 기업에는 벌금이 부과됐다.

현재 사우디의 확진자 수는 52만여명(사망 8189명)에 이른다. 백신을 한 번이라도 접종한 인구는 전체의 53.8%(약 1844만명, 27일 기준), 2차 접종까지 완료한 인구는 전체의 19.6%(약 670만명)이다.

사우디 정부가 백신 접종률을 올 10월까지 70%로 끌어올리기 위해 공공장소 출입금지라는 초강수를 둔 셈인데, 과도한 조치라는 시각도 있다. WSJ에 따르면 정부가 1회 접종 인구를 늘리기 위해 2차 접종을 일시 중단한 적도 있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지난해 12월부터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보급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델타 변이가 폭증하면서 백신 접종 의무화를 도입한 나라들은 속속 늘고 있다. 다만 이들 나라는 반발 여론을 의식해 광범위한 적용은 주저하고 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주와 뉴욕시는 공무원들에게 백신 접종을 의무화 했고, 프랑스ㆍ이탈리아 등은 체육관 등 밀집 장소 출입시 ‘백신 여권’을 발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프랑스 등 서방 국가에서는 이에 따라 백신 접종자와 미접종자의 차별 정책에 반발하는 대규모 시위에 직면해 있다. 반면 인구 3000만이 정부에 강력하게 통제되는 권위주의 국가 사우디에서 이번 의무화 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고 WSJ는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