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 해명 사실과 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병준 부총리는 2일 사퇴의사를 밝혔지만 김 부총리가 교수직을 맡았던 국민대에 대해 비난이 일고 있다.

국민대가 사실과 다른 해명서를 내가면서 김 부총리를 두둔했기 때문이다.

국민대 정치대학원 문태운 원장은 지난달 29일 교육인적자원부에 해명서를 보냈다. 문 원장은 여기서 "우리 대학의 논문집 '사회과학 연구'는 1989년의 제1집부터 2006년 제18집까지 일관되게 모든 교수에게 똑같이 논문의 중복게재를 적용해 왔다"고 주장했다. 당시 김 부총리는 "왜 똑같은 논문의 제목을 조금씩 바꿔 국민대의 '사회과학 연구'에 실은 뒤 그걸 2개의 논문인 것처럼 BK21에 보고했느냐"는 비난을 받고 있었다. 문 원장이 보낸 해명서대로라면 김 부총리에 대해선 도덕적인 비난은 가능하지만 그 이상의 논란은 불가능해진다.

국민대의 해명서는 김 부총리에게는 큰 힘이 됐다. 김 부총리는 1일 국회 교육위에서도 "국민대가 중복논문 게재를 허용하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육부도 '김병준 구하기'에 총력전을 폈다. 의혹이 불거지기 시작한 지난달 24일부터 만사를 제쳐 두고 김 부총리 해명에 나섰다. 국민대에서 자료를 받아 김 부총리의 과거 논문에 대해 해명서를 작성하는가 하면 언론 반박 자료, 국회 교육위 준비 자료 등을 만들었다. 하지만 사실이 아니었다.

김 부총리의 논문이 실린 '사회과학연구 12집'(2000년 2월)에 "(여기에 실리는) 논문은 타 학술지에 게재된 적이 없고, 독창성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고 돼 있기 때문이다.

◆ 국민대 해명=문 원장은 2일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제12집에 실린 요강은 확인하지 못했고 내가 편집을 책임지지 않아서 모른다"고 해명했다. 교육부에 "중복게재를 허용한다"는 내용을 보낸 것에 대해 문 원장은 "문서화된 것은 없고 당시 관행을 정리해 해명서를 만들어 교육부에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학 김문환 총장은 "'사회과학연구'에 중복게재를 못 한다는 규정이 있더라도 그것은 구속력이나 강제력이 없는 주의사항 정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