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文 "오늘 미얀마에서 어제의 광주를 본다"…김부겸, 41주기 5·18 기념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8일 제41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김부겸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제41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김부겸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 모두는 광주에 빚진 사람들”

올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의 화두는 이념과 지역을 허무는 전국화·세계화, 그리고 국민 통합이었다. 1980년 5월 18일로부터 41년의 세월을 아우르는 주제도 광주만의 것이 아닌 ‘우리의 오월’이다.

5·18 기념식, ‘전국화·세계화’ 화두로 개최

18일 오전 10시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제41주년 5·18 기념식이 열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참석자는 5·18 유가족과 시민, 김부겸 국무총리와 여야 지도부 등 99명으로 제한됐다.

이번 기념식의 주제는 ‘우리의 오월’이다. “민주주의를 꽃피운 5·18 정신을 광주에 국한하지 않고 모두가 공감하자”는 취지다. 보훈처도 주제를 ‘우리의 오월’로 정한 배경에 대해 “광주라는 지역적 한계를 초월해 전국화·세계화로 확장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국민통합을 이루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제41주년 5·18 주제는 ‘우리’

18일 제41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가족이 묘역 앞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18일 제41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유가족이 묘역 앞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김부겸 총리는 기념사에서 “이 땅의 민주주의를 누리고 있는 우리 모두는 광주에 빚진 사람들”이라고 했다. 5·18이 광주만의 투쟁이 아니라 전국에서 들끓던 민주주의의 열망을 대변해 벌인 싸움이었다는 뜻이다.

김 총리는 “부산과 마산에서 타오른 시민들의 저항과 ‘서울의 봄’을 지키고자 했던 힘이 약해져가던 바로 그때 광주의 시민들이 일어섰다”며 “우리의 아버지요, 어머니요, 형제자매였던 평범한 시민들이 ‘비상계엄 철폐’, ‘유신세력 척결’을 외치며 거리의 투사가 되었다”고 했다.

이어 광주와 대구의 달빛 동맹을 거론하면서 “5·18 정신을 국민통합의 정신으로 계승해야 한다”고 했다. 김 총리는 “지난해 대구에서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했을 때 광주가 가장 먼저 손을 내밀었고 이것이 ‘오월 정신’”이라며 “이곳에 분열과 갈등이 들어설 자리는 없다”고 했다.

미얀마와 연대하는 5·18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우리들의 오월'을 주제로 41주기 기념식이 열린 가운데 김부겸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우리들의 오월'을 주제로 41주기 기념식이 열린 가운데 김부겸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제41주년 5·18 기념식을 맞아 “우리는 오늘 미얀마에서 어제의 광주를 본다”며 “오월 광주와 힌츠페터의 기자정신이 미얀마의 희망이 되길 간절히 기원한다”고 했다.

1980년 5월 신군부의 군홧발에 짓밟혔던 광주는 지난 2월 군부 쿠데타로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하고 있는 미얀마를 돕는 모금운동과 항쟁지지 성명 발표, 미얀마 공동체 지원 등 연대 투쟁해오고 있다.

김 총리는 “5·18민주화운동과 그 정신은 혼돈의 시대를 밝힌 자랑스러운 우리의 역사”라며 “지금도 광주에서는 군부독재에 맞서 싸우고 있는 미얀마 시민들을 응원하기 위해 ‘임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 퍼지고 있다”고 했다.

41주년을 맞은 5·18의 또 다른 목표가 세계화인데 미얀마 군부 쿠데타를 계기로 더욱 힘을 얻는 모양새다. 올해 기념식 2막 공연에서는 5·18 사적지와 미얀마에서 민주항쟁 상황을 함께 보여주는 영상도 선보였다.

41년째 진정한 사과 바라는 유족들

제41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18일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1980년 5월 계엄군의 총탄에 희생당한 전재수군의 형 전재룡씨가 참배하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제41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18일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1980년 5월 계엄군의 총탄에 희생당한 전재수군의 형 전재룡씨가 참배하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지난 3월 5·18 당시 광주에 투입됐던 7공수여단 소속 계엄군 A씨가 자신의 총탄에 희생된 민간인 희생자 고(故) 박병현씨의 유가족을 만나 사죄하는 일이 있었다.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로 당시 계엄군들의 고백이 이어지고 있지만, 5·18을 일으킨 장본인인 신군부 인사들의 진정한 사죄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이날 12살의 어린 나이에 계엄군의 총탄에 희생당한 전재수군의 형 전재룡(60)씨는“군인들 본다고 나갔다가 총 맞고 죽은 내 동생이 무슨 죄가 있겠느냐”면서 “전두환 전 대통령이 이제라도 희생자들 앞에서 사죄하길 간절히 바랄 뿐”이라고 했다.

광주광역시=진창일 기자 jin.changi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