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 난자 사용… 금전적 보상… 국제 학계 어떻게 볼지 촉각

중앙일보

입력

서울대 황우석 교수 연구의 윤리 파문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연구원 난자 제공이 사실로 드러났고, 황 교수가 지난해 5월 이 사실을 알았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회에 의혹을 모두 털고 윤리 기준을 더 강화해 한국 과학계가 한 차원 높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왜 공개하지 않았나=황 교수는 그동안 연구원 난자 제공 사실을 부인해 왔다. 황 교수는 서울대 수의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에서 "난자를 제공한 연구원들이 사생활 보호를 위해 공개하지 말 것을 강력히 요청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연구원의 사생활 보호'를 '연구 과정의 투명성과 윤리 규정 준수'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의미로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전문가들은 황 교수가 지난해 5월 알았을 때 적절하게 대처했으면 파문을 줄일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 네이처지 보도 직후 자체 조사 결과를 밝히고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야 했다는 지적이다.

황 교수팀이 2003년 연구 당시 윤리 문제를 소홀히 다룬 흔적도 나타난다. 황 교수는 IRB 조사 때 "(2003년 연구 당시) 연구원들이 '우리 난자부터 제공하겠다'고 나서 내가 '굳이 그럴 필요가 있느냐. (미즈메디병원이) 난자를 구해 준다고 했으니 기다려 보자'고 세 번이나 말렸다"고 말했다. 또 난자를 제공한 연구원 A씨는 "연구원이 난자를 제공하면 안 된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진술했다. 연구원의 난자 제공은 엄격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중대 사안임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 어떤 영향을 미칠까=사이언스가 황 교수 논문 게재를 취소할지가 관심거리다. 사이언스는 22일 황 교수에게 난자 취득 과정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면서 "난자 취득과 관련한 논란이 황 교수의 연구 성과에 의문을 제기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혀 일단 논문 취소로 갈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이럴 경우 사이언스가 일부 정정 보도를 내는 것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크다. 네이처 등에서 황 교수 측의 은폐 의혹을 제기하면서 연구 과정의 불투명성을 문제 삼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논란에도 불구, 황 교수의 체세포 배아복제 등의 연구 실적은 세계적인 업적으로 계속 남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