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 주성분 '강황' 위장보호 효과

중앙일보

입력

카레의 주원료인 강황(姜黃)이 위장을 보호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김경태 교수와 김 교수 연구실이 설립한 벤처기업 ㈜뉴로넥스(대표 김동찬) 연구팀은 강황 추출물이 위산 분비를 효과적으로 조절,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국제약리학회지'(BPB :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12월호에 게재된다고 대학측이 밝혔다.

연구팀은 "음식물을 섭취하면 위에서 이를 분해하기 위하여 위산이 분비되는데 이때 위산이 주변의 위벽에 손상을 줄 수 있어 위점액도 같이 분비된다"면서 "그러나 과식, 스트레스 등으로 위산이 과다 분비돼 적절한 균형이 깨질 경우 위궤양, 위암 등 위 질환이 유발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강황 성분 중 에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이용, 이 성분이 위산 분비를 조절하는 '히스타민 (Histamine) 2 수용체’를 억제시키는데 결정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연구를 통해 '천연물질 성분에 의한 히스타민 2 수용체와 세포신호전달물질(cAMP) 생성 → 단백질인산화효소 A(Protein Kianse A) 활성화 → 소화를 위한 위산의 위장관 내부 분비’로 이어지는 위산 분비조절 메커니즘이 명확히 규명돼 부작용이 없는 위장 관련 천연 신약 개발에도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연구는 산업자원부 '신기술창업보육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뉴로넥스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산분비 조절, 위궤양 예방관련 기능성 식품개발과 천연 신약개발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와 관련된 특허 3건을 등록했다.

강황(姜黃)은 '생강'과의 한해살이 풀로 '울금'이라고도 하며 아시아가 원산지로서 중국,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재배된다.

(포항=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