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유흥시설 집합금지 불가피”…‘서울형 거리두기’에 난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뉴시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 뉴시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11일 “유흥시설에 대한 집합금지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말했다. 정 청장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는 이유는 사람 간 접촉을 최대한 줄여서 코로나19 확산을 막는 것에 이유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흥시설에 대한 영업허용 등을 시사한 오세훈 서울시장의 이른바 ‘서울형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예고에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이다.

정 청장은 이날 오후 코로나19 예방접종 브리핑에서 ‘서울형 사회적 거리두기 매뉴얼을 조속히 만들겠다’는 오 시장의 발언에 대한 방역 당국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정 청장은 “아직 변경안에 대해 협의가 들어오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제안이 들어오면 거리두기의 전체적인 시설·업종별 지침에 따라 정부와 같이 검토하고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정 청장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하면서 유흥시설에 대한 집합금지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부산이나 강남구 사례를 보면 유흥시설에서는 마스크를 쓰기 어렵고 지하의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체류하는 등의 특성이 있다”며 “그런 조치를 불가피하게 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흥시설이 방역수칙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어떤 형태로든 제재나 현장 단속이 강화되는 등의 인위적인 조치들이 같이 시행될 수밖에 없다”며 “(영업 허용은) 기본 방역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오 시장은 지난 9일 코로나19 종합대책회의에서 일괄적인 오후 9시, 10시 이후 영업금지 등 규제 중심의 거리두기는 더 이상 수행하기 힘들다며 업종별 차별화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홍주희 기자 hongh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