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3년 만에 ‘트럼프 탈퇴’ 유엔 인권이사회 다시 참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유엔 인권이사회에 다시 참여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탈퇴한 지 3년 만이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마크 캐세이어 주제네바 미국대표부 대리대사는 8일(현지시간)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 조직 회의에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오늘 미국이 옵서버 자격으로 유엔 인권이사회에 다시 참여할 것이라고 발표한다는 점을 알리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인권이사회에 결점이 있기는 하지만, 우리는 이 기구가 전 세계 폭정과 부정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을 위한 중요한 회의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면서 "우리는 그 잠재력에 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인권이사회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산하 인권위원회를 개편해 2006년 설립된 기구다. 국제사회 인권과 자유를 증진하고, 중대하고 조직적인 인권침해에 대한 대처를 목적으로 한다.

앞서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임하던 2018년 6월 유엔 인권이사회가 미국의 우방국인 이스라엘에 편견과 반감을 보이고 미국이 요구하는 개혁을 외면한다는 이유로 탈퇴했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시 이뤄진 정책들을 뒤집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우며 유엔 인권위원회 외에도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와 세계보건기구(WHO), 파리기후협약, 이란 핵 합의 등 국제기구와 국제협약에서 잇따라 탈퇴를 선언했다.

하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첫날 WHO 탈퇴 절차를 중단하고 파리기후협약 복귀 행정명령을 내리는 등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시 이뤄진 정책들의 제자리 찾기에 나서고 있다.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