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국회의원 30명이 아파트 1131억 원어치 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1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21대 국회의원 30명이 1000억원이 넘는 아파트 재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신고액이 시세보다 34% 낮다는 시민단체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26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국회의원 보유 아파트 상위 30명 실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은 “의원 30명이 소유한 아파트 51채의 재산 신고총액은 750억원이지만 2020년 11월 기준 시세는 1131억원이다. 시세보다 34% 낮게 신고해 차액이 381억원이다”고 밝혔다.

이어 “조사 대상 의원 중 4명이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이고 2명은 기획재정위원회 소속으로 조사됐다”며 “이해충돌에 대한 국민 우려에도 부동산 부자들이 유관 상임위에서 의정활동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실련은 정당별 아파트 재산 신고액도 공개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국민의힘(19명) 의원들의 아파트 재산 신고액은 1인당 평균 23억2000만원으로 시세보다 13억7000만원 낮았다. 더불어민주당(9명)의 아파트 재산 신고액은 1인당 평균 30억1000만원으로 시세보다 11억원 낮았다.

가장 높은 시세의 아파트를 보유한 의원은 박덕흠(무소속) 의원으로 강남구 삼성동, 송파구 잠실동, 충북 옥천 등 3곳에 시세로 107억원에 이르는 아파트 3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30명이 소유한 아파트 가격은 지난 10년간 1채당 79.4%, 평균 9억8000만원(12억4000만원→22억2000만원) 오른 것으로도 조사됐다. 이 중 문재인 정부 4년 동안 오름폭은 7억3000만원(14억9000만원→22억2000만원)이다.

시세 상승액이 가장 큰 아파트는 박병석(무소속) 의원이 보유한 반포동 아파트로 10년간 30억8000만원(27억원→57억8000만원) 올랐다.

또 이들이 소유한 아파트는 대부분 서울에 있고 그중에서도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에 특히 집중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대상 아파트 51채 중 74.5%인 38채가 서울에 있었고 28채는 강남 3구에 있었다.

경실련은 “올해 고위공직자 자산 신고를 할 때 보유 부동산의 시세대로 신고를 의무화하고, 보유 부동산의 소재 등 상세한 정보를 함께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조사는 21대 국회의원 중 아파트 재산 신고액 기준 상위 3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자료는 국회 공직자 윤리위원회에 신고한 3월 재산 신고내용(재선 의원의 경우)과 8월 재산 신고내용(초선 의원의 경우)을 합쳤다.

시세 조사는 국민은행 등의 부동산 시세정보를 활용했으며 재건축·재개발된 경우 과거 시세는 주변 아파트 시세를 적용했다. 정당별로 보면 2020년 4월 총선 기준 국민의힘 소속이 19명, 더불어민주당 9명, 무소속 2명이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