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7곳, 아직도 내년 경영계획 확정 못했다

중앙일보

입력

우리나라 기업 10곳 중 7곳은 대ㆍ내외 불확실성 탓에 내년도 경영계획을 아직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 회(이하 전경련)가 6일 공개한 ‘2021년 기업 경영환경 전망 긴급설문조사’ 결과다. 조사는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 기업(151개사)의 71.5%가 내년도 경영계획의 ‘초안만 수립(50.3%)’했거나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21.2%)’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특히 철강(9개사)과 자동차 부품(25개사)들이 특히 내년도 경영계획을 확정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 업종 기업은 경영계획을 확정한 곳이 한 곳도 없었으며, 자동차부품 관련 기업도 ‘확정 짓지 못했다(76.0%)’는 응답이 높았다. 반면 ‘디스플레이(3개사)’, ‘반도체(10개사)’ 업종의 경우 ‘계획을 확정했다’는 응답이 각 66.7%, 40.0%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코로나19 재확산, 불확실성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기업들의 내년 전망을 불투명하게 하는 요인은 뭘까.
조사 결과 기업들은 내년도 경영계획을 세우는데 가장 큰 애로점(2가지 중복선택)으로 ‘코로나19 재확산(42.9%)’이 가장 높은 이유로 꼽혔다. 이어 ‘환율ㆍ금리 변동 등 금융 리스크(19.3%)’와 ‘고용ㆍ최저임금 등 노동정책 부담(14.5%)’이 뒤를 이었다.

여기에 최근 당면한 경영상 어려움(2가지 중복선택)으로는 ‘내수 부진(29.8%)’이 가장 많았으며 ‘수출 애로(24.2%)’, ‘원가 부담(22.8%)’을 꼽는 기업이 많았다. 전경련 측은 “정부의 각종 지원금 지급을 통해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들이 체감하는 내수 회복 수준은 낮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한편, 내년 경제 상황과 관련 응답 기업의 46.6%는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봤다.
기업들은 실적 회복 예상 시기를 ‘2022년 이후(29.8%)’로 보는 곳이 가장 많았다. 여기에 ‘2021년 3분기(27.8%)’와 ‘2021년 4분기(17.2%)’ 등을 포함 내년 하반기 이후 실적 개선을 예상하는 기업은 전체의 74.8%였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 재확산과 같은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경영환경 전망이 어렵고 세계 경제의 회복세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기업의 성장 동력이 약화하지 않도록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lee.sook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