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환자 작년 유행때의 2배

중앙일보

입력

최근 급속히 번지고 있는 독감은 유행시기가 예년에 비해 훨씬 빨라진데다 환자수가 작년 독감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에 비해서도 2배 가량은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국민들이 느끼는 독감 체감강도가 매우 심할것으로 평가됐다.

국립보건원은 작년의 경우 독감이 가장 심했던 시기(12월말)에 독감이 의심되는 환자수가 전체 외래환자 1천명당 2.7명이었으나 올해는 지지난주(10-16일)에 4.47명을 기록했으며 지난주(17-23)에는 5명선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고 26일 밝혔다.

독감이 작년보다 심했던 재작년에도 독감환자수는 가장 심했던 시기에 1천명당 3.5명에 그쳐 올해보다는 심하지 않았다.

독감이 유행한 시기도 작년에는 12월말, 재작년에는 2월말 등이었으나 올해는 아직 본격적인 겨울도 닥치기 전인 11월 중,하순이어서 환자들의 당혹감이 더 심한것으로 보인다.

국립보건원은 올해 생산한 1천만병의 백신이 거의 바닥이 났을 정도로 예년에 비해 예방접종을 많이 했지만 전염성이 강해 더 많은 환자들이 독감에 걸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독감예방백신은 접종후 3~4주 가량이 지나야 예방효과가 나타나지만 독감은 3~4주 가량 유행하면 대부분 수그러들기 때문에 유행할 즈음에는 백신을 맞아도 그리 기대할 게 없다고 국립보건원은 설명했다.

다만 만성 폐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독감에 걸릴 경우 폐렴이나 신부전증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금이라도 백신을 맞는 편이 낫다.

독감에 걸렸을 때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물을 많이 먹으면서 술이나 담배는 삼가는 것이 좋으며,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을 먹을 수도 있으나 합병증이 없는 독감의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는 효과가 없다고 국립보건원은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