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스가 측근의 '문희상안' 일축…"한일 외교당국 협의가 현실적"

중앙일보

입력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기자협회 제공]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 참석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기자협회 제공]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일제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 측근이 ‘문희상안’을 해법으로 제시한 것을 두고 “국회나 정부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받아들여졌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초청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비슷한 안이 또 나와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일축했다.

'문희상안'은 한일 양국 기업과 국민(1+1+α)이 자발적으로 낸 성금으로 재단을 설립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위자료 또는 위로금을 지급하는 방안이다. 스가 총리의 측근인 가와무라 간사장은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의 방한 일정 중 '문희상안'을 해법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 대표는 '문희상안' 대신 다른 방안으로 "작년 10월 아베 총리와 만났을 때 있었던 합의인 한일 외교 당국 간 협의가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도 일본도 지키고자 하는 원칙들이 있다“며 ”각자의 원칙을 살리면서도 접점 찾아가는 과정 이걸 외교당국이 가장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간 아쉽게도 외교 당국 간 회담이 진행됐다가 중지되는 과정이 반복됐다”며 “제가 보기엔 주로 일본 측 총리 관저에 의해서 제동이 걸리곤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두 정부 모두 외교 당국 간 협의에 맡기고 웬만하면 제동을 걸지 않으면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도쿄 올림픽이 오기 전 현안들을 다 타개하고 북한, 일본 간의 관계에서도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국정감사에서 주일한국대사에게 확인한 바로는 여러 가지 방식의 양국 간 대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면서 "한국 대사 느낌으로는 아베 총리 시절보다 일본 측이 좀 더 유연해진 것 같다는 답변을 얻었다"고도 했다.

이 대표는 기자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피해자 중심주의 원칙을 변형할 수 있다는 건가'라는 질문에 "피해자 중심주의 같은 원칙을 변형하자는 게 아니라, 원칙은 지켜가면서 접점을 찾자는 것"이라며 "가와무라 간사장 만났을 때도 이런 얘기를 했다"고 덧붙였다.

함민정·오현석 기자 ham.minj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