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공공의대 선발방식 결정된 바 없어”

중앙일보

입력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1일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의대 설립과 관련해 “대학 입시나 선발과 관련해 무엇보다 공정성과 투명성이 중요하다”며 “공공의대 설립 취지에 맞는 선발 방식을 협의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이날 국회 교육위원회 2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공공의대 학생 선발과 관련한 교육부의 입장을 묻는 질문을 받고 “공공의대 선발 방식에 대해서 검토하는 단계라 결정한 내용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보건복지부가 공공의대 설립 추진 방안을 발표하면서 “국립 공공의료대학원을 설립하고 학생을 시·도별 일정 비율을 배분해 선발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시·도지사의 추천으로 신입생을 선발하게 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는 “시·도지사 개인 권한으로 특정인을 추천할 수 없으며, 시민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중립적인 추천위원회를 구성해 추천하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그러자 “시민단체가 공공의대 신입생 선발에 관여하게 된 것이냐”며 ‘불평등 입시’ 루머가 확산됐다.

유 부총리는 “보건복지부도 학생 선발 방식을 보건복지부의 입장으로 발표한 것은 아닌 걸로 안다”며 “공공의대 설치 관련 정책들이 의논 중이어서 그 부분이 확정되면 (학생 선발 기준을) 조금 더 구체화돼야 하지 않을까 하고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능, 9월 18일 원서마감 후 세부 대책 발표” 

유 부총리는 또 오는 12월 3일로 예정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관련 세부적인 운영 계획을 원서접수가 마감되는 9월 18일 이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수능 관련 질의를 받고 “방역을 가장 철저하게 준비하면서 차질없이 치러질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비대면 방식으로 수능을 치르는 방식은 어렵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유 부총리는 “9월 3일부터 수능 원서접수가 시작되는데 접수 마감 이후 수능 관련 전체적인 저희(교육부)의 준비와 계획을 보고 드리고 국민에게 공식적으로 발표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지난 25일 국회 교육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서도 “수능은 공정성이 가장 중요한 시험”이라며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 계획은 세우고 있지만 비대면이나 그룹을 나눠서 보는 것은 당장 실현하기 어려움이 있지 않나”고 밝힌 바 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