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에 편지 쓴 빌게이츠 "韓, 백신 선두…내년 연 2억개 생산가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훌륭한 방역과 함께 한국이 민간 분야에서는 백신 개발 등에서 선두에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 회장이 지난 20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 쓴 내용 중 일부다. 게이츠 회장은 편지에서 “한국 정부와 게이츠 재단의 협력을 보다 강화하고 코로나19 등의 대응에서 함께 하기를 희망한다”며 이렇게 밝혔다고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이 27일 전했다.

빌게이츠. [EPA=연합뉴스]

빌게이츠. [EPA=연합뉴스]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뒤 부인과 함께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을 이끌며 빈곤퇴치 운동에 앞장서 온 게이츠 회장은 매년 노벨평화상 후보로 언급될 만큼 사회적 영향력이 큰 인사다. 그는 코로나19 발발 초기인 지난 4월 문 대통령과 전화통화로 코로나19 대응책을 논의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게이츠 회장은 편지에서 “게이츠 재단이 연구개발을 지원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개발에 성공할 경우 내년 6월부터 연간 2억 개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에서 개발되는 백신을 통해 세계 각국에서 어려운 처지에 처한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정숙 여사가 최근 국제백신연구소(IVI) 한국 후원회 명예회장에 추대된 것을 축하한 게이츠 회장은 “한국 정부와 게이츠 재단이 공동으로 조성한 라이트 펀드(RIGHT Fund)에 게이츠 재단의 출자 규모를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이트 펀드란 2018년 보건복지부와 게이츠 재단, 국내 생명과학 기업이 공동 출자한 펀드로 2022년까지 전염병 대응 등을 위해 500억 원 규모로 조성된다. 한국 정부가 5년간 250억 원을 출자하고, 게이츠 재단은 나머지 250억 원 중 절반을 출자하기로 한 상태다. 게이츠 재단의 출자 규모 확대에 따라 정부 출자금도 늘어나는 것이냐는 질문에 청와대 관계자는 “출자 규모를 늘리겠다는 서한이 최근에 왔기 때문에 우리 정부가 어떻게 할지 결정하는 데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