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 연령별 현주소는…

중앙일보

입력

태아의 성(性) 감별과 그에 따른 낙태가 없다면 여자아이 1백명당 남자아이가 1백5명 정도 태어나는 게 정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의 평균 성비(性比.여아 1백명당 남아수) 가 1백13명이다. 여성의 출생기회가 인위적으로 제한받은 것이다.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정경배) 남정자 연구위원팀이 최근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문제와 대책' 이란 보고서를 통해 건강상태를 중심으로 한국 여성의 일생을 계량화했다.

4만3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 영양조사와 가족보건 실태조사 등을 토대로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유아기(0~6세) 의 경우 체중 2.5㎏ 이하의 저체중아가 태어나는 비율이 여아가 3.9%로 남아(3.1%) 보다 높았다.

청소년기(7~18세) 의 여성은 7.8%가 빈혈이다. 같은 나이 남성(3%) 의 2.6배다.
임신.출산기(19~44세) 의 한국여성은 세계 최고수준의 제왕절개 분만율(43%) 을 기록하고 있다. 모유를 먹이는 비율은 세계 최저수준인 14%다.

한국여성의 출산과 관련된 건강도가 그만큼 떨어진다는 것이 연구원의 분석이다.
특히 25~44세 때는 여성의 14%가 빈혈이고 5명 중 한명이 비만이다.

이 시기 여성의 유방암.자궁암 검진율은 각각 16%, 43%로 미국(77%) 에 크게 못 미친다.
중.장년기(45~64세) 에는 남성의 사망률이 여성의 세배에 달하기는 하지만 여성은 만성질환(고혈압.고지혈증 등) 과 근(筋) 골격계 질환(관절염.디스크.골다공증 등) 으로 남성보다 더 고통을 받는다.

이 시기 여성의 만성질환 보유율은 82%. 남성(73%) 보다 9%포인트 높다.
근골격계 질환 보유율도 남성(16%) 의 2.5배(40%) 에 달했다. 그런가 하면 이 시기 여성의 비만 비율도 37%에 이른다.

또 중.장년기 여성의 2.8%가 정신.행동장애를 보이고 있다.
이는 남성의 0.6%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다. 이 때의 여성들이 일생을 통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노년기(65세 이상) 여성은 91%(남성 83%) 가 만성질환을 갖고 있다. 이 시기에는 고혈압 보유율도 여성(58%) 이 남성(45%) 보다 높다.

일생을 통해 한국의 여성들은 평균 13년간 질병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명이 긴 영향도 있어 남성의 7년에 비해 두배 가까운 기간을 질병에 시달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