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유입방지 정부대책은 빈틈없어

중앙일보

입력

유럽의 광우병 공포가 우리나라에까지 연일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우리도 이제는 정말로 지구촌 시대에 살고 있음을 새삼 실감케 한다.

언론과 국민들이 갖고 있는 의혹은 과연 우리나라가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한가 하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가 우리나라는 아직 광우병에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정부는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공식 발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광우병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아마도 주요 언론들이 최근 들어 계속해 광우병 문제를 다루고 있는 데서 비롯된 일일 것이다.

언론이 국민 건강을 위해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정부가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하는 것은 바람직하고 고마운 일이다.

그러나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식품과 질병에 관한 보도는 자칫 잘못하면 막연한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등 역기능을 초래할 수도 있다.

부정확하거나 불충분한 정보가 제공될 때에는 더욱 그러하다.

'공업용 우지라면 파동' 을 생각해 보자.

한때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공업용 우지라면 파동' 은 재판 과정에서 무죄 판결이 선고되면서 국민들에겐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업계에는 심대한 타격을 가한 채 끝나고 말았다.

구제역이 사람에게도 전염된다는 보도의 파장도 마찬가지다.

구제역 인체감염 보도의 경우 구제역은 사람에게는 감염되지 않는다는 정부의 발표가 있은 직후에 나온 보도라서 혼란이 더욱 컸었다.

그러다 보니 초동방역 조치에 전력을 다해야 할 정부가 행정력을 오히려 해명에 쏟아부어야 했고 축산물의 소비가 줄어 축산농가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나 개연성만을 가지고 보도할 경우에 자칫 사회적으로 불안과 혼란을 증폭시키고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다.

이웃 일본 언론은 유럽의 광우병 파동과 관련해 확인된 사실만을 보도하고 있다.

지난해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에도 마찬가지였음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정부는 우리나라를 계속 광우병 안전지대로 지켜나가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미국.일본 등 선진국에 못지 않은 여러가지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광우병 발생국가와 그 주변국가를 포함해 모두 30개국으로부터 소.쇠고기.사료용 육골분 등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는 것이 한 예다.

또한 광우병의 전염원으로 추정되는 육골분 등의 동물성 사료를 소 등 반추동물의 사료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하고 있기도 하다.

더욱이 국제규정에 따라 1996년 이후 매년 국내 소들에 대해서는 광우병 검사를 실시해 왔다.

광우병 검사 결과 국내 소들은 모두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농림행정의 책임자로서 우리 축산물에는 광우병 걱정이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정부는 이번 광우병 파동을 위생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축산업을 발전시키는 계기로 삼을 것이다.

광우병 유입방지 대책뿐만 아니라 구제역의 재발방지 등을 위해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가려 한다.

정부가 미흡하게 대응하거나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언제라도 언론과 국민 여러분의 조언과 질책을 부탁드린다.

정부와 언론이 국민건강과 축산업 발전을 위해 상호보완적으로 협력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해 나갈 때 국민은 식탁에서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