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대출 수요는 느는데 심사는 까다로워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라 대출 수요는 급증하는 반면, 금융기관에서 대출받기는 한층 까다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 시중은행 대출 상담 관련 창구 모습. 뉴스1

서울 시중은행 대출 상담 관련 창구 모습. 뉴스1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에 따르면 3분기 금융기관들은 대기업·중소기업·가계주택·가계일반 대출 심사를 한층 강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 관련 태도를 완화했는지를 묻고 "그렇다"는 양(+), "아니다"는 음(-)으로 표시했을 때 은행의 경우 2분기와 3분기 각각 ▲ 대기업 -10→-13 ▲ 중소기업 7→-10 ▲ 가계주택 -7→-17 ▲ 가계일반 3→0으로 전반적으로 태도가 엄격해졌다.

국내은행 대출행태 지수. [한국은행 제공]

국내은행 대출행태 지수. [한국은행 제공]

차주와 관계없이 2분기보다 대출 심사조건을 강화하거나 대출 한도를 낮추는 등 방식으로 대출을 조기 했다고 답한 금융기관이 많았다는 뜻이다.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태도의 변화 폭이 가장 컸다.

3분기 신용위험 지수도 전반적으로 올랐다. 2분기에는 각 23, 40, 40 수준이던 대기업과 가계주택 및 가계일반 대출 관련 신용위험 지수는 3분기에 모두 27, 43, 43으로 높아졌다. 수치가 높을수록 대출 확대에 따른 건전성 위험을 걱정하는 금융기관이 많다는 뜻이다. 다만 중소기업은 2분기와 같은 신용위험 지수(43)를 유지했다.

이처럼 은행 문턱은 높아질 예정이나, 3분기 대출 수요는 오히려 2분기보다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3분기 대기업·중소기업·가계주택·가계일반 대출수요 지수는 각 13, 33, 7, 23으로 2분기(27·63·10·23)보다 낮아졌지만, '직전 분기보다 수요가 늘어날까'란 질문지 때문에 낮게 나온 수치일 뿐, 여전히 대출 수요 자체가 양(+)인만큼 2분기 대비 3분기 대출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행태지수. [한국은행 제공]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행태지수. [한국은행 제공]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마찬가지로 3분기 대출 태도는 강화되고 신용위험은 커지지만, 대출 수요는 늘어날 것이라고 보는 이가 많았다.

신혜연 기자 shin.hyey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