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담한 말투 속 고충 토로한 정은경 "깜깜이 감염, 가장 싫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 뉴스1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장기전을 진두지휘하는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가장 싫어하는 말은 무엇일까. 4일 답이 나왔다. 바로 '깜깜이 감염'이다. 깜깜이 감염은 역학조사에서 감염원인이나 경로를 확인하기 어려운 오리무중인 상황을 말한다.

정 본부장은 4일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브리핑 마무리 발언에서 “보건당국이 가장 싫어하는 말이 사실 깜깜이 감염”이라고 말하며 최근의 고충을 에둘러 내비쳤다.

정 본부장은 “이런 깜깜이 감염이 위험한 것은 (코로나19) 취약계층인 고령자나 기저질환(지병)자 등에 전파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한) 인명피해로 이어지는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고 특유의 담담한 어조로 말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뉴스1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뉴스1

정 본부장이 방역 당국이 직면한 난제로 '깜깜이 감염'을 꼽은 이유가 있다. 방대본에 따르면 최근 2주(지난달 21일~이달 4일) 사이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 507명 가운데 감염원을 파악하기 힘든 환자는 45명(8.9%)이나 됐다.

생활 속 거리두기로의 전환 기준 중 하나인 이런 깜깜이 환자비율(5% 미만)을 훌쩍 웃돌며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어 방역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깜깜이 감염' 못지 않게 정 본부장은 우려하는 것은 방역당국이 대규모 유행을 뒤늦게 발견하는 상황이다. ‘통제’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될 수 있어서다.

정 본부장은 “이런 경우 굉장히 단기간에 폭발적인 그런 환자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한국의) 의료대응체계와 의료자원이 감당하지 못하는 그런 상황이 벌어질까 봐, 이를 예방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의 이러한 발언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산발적인 집단감염이 확진자 증가세로 이어지자 방역당국 핵심 책임자 중 한 명으로서 우려와 고민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김민욱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