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철 “주호영과 합당 논의. 결정은 총의 모아야”…통합 속도내나

중앙일보

입력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가 10일 모(母)정당인 미래통합당(통합당)과의 합당과 관련해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당 대표 권한대행)와 합당의 시기, 절차, 방식 등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등 통합당 지도체제에 추가 변화 가능성과 관련해선 “비대위원장이 새로 오면 신속히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했다.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올린 ‘미래한국당의 미래’라는 글을 통해서다.

원 대표는 “미래한국당은 통합당과 총선 후 합당한다. 시기는 정무적으로 판단하겠다. 이것이 제가 국민들께 한국당 대표로서 약속 드린 사항”이라며 “미래한국당은 국고보조금을 받아내기 위해, 또 상임위원장 자리를 얻어내기 위해 단 1분도 논의한 적이 없는 정당”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래한국당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발언을 삼가 주길 강력히 요청한다”고 했다. 미래한국당이 당리당략 차원에서 독자 교섭단체 구성을 추진하려 한다는 일각의 주장을 부정한 셈이다.

원 대표는 다만 “미래한국당의 미래와 운명의 최종 결정은 당 소속 국회의원, 당선인, 당원들께서 하실 것”이라며 “모두의 총의를 모아 결정하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합당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겠지만 결론이 내려진 건 아니라는 의미다.

통합당 원내대표 선출로 합당 압박 강해져 

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 연합뉴스

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 연합뉴스

원 대표가 이같은 메시지를 낸 건 당 안팎의 ‘합당 압박’이 거세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 된다. 4ㆍ15 총선 이후 한달 가까이 지났지만 미래한국당은 통합당 지도체제 문제가 해결된 뒤 합당 시기와 절차를 정하겠다며 합당 추진을 미뤄왔다. 원 대표 역시 이와 관련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8일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가 선출되며 한국당이 합당을 미룰 명분도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 원내대표는 당시 선출 직후 “(합당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이른 시간 내 미래한국당 지도부와 이 문제를 논의할 생각”이라고 못박았다. 통합당에서는 이전에도 “우리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는 제1야당의 위상에 맞는 단일대오 형성이다. 첫째가 미래한국당의 즉각적인 통합”(장제원 의원) “미래한국당 당선자들은 우리와 한 가족이다. 왜 이산가족이 돼 있어야 하나”(김선동 의원)라며 합당을 압박해왔다.

'독자생존' 가능성도 여전히 설왕설래

그럼에도 미래한국당 ‘독자생존론’의 불씨는 여전히 꺼지지 않고 있다. 원 대표가 지난 8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를 위해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 통합당과 미래한국당 지도부가 참여하는 ‘2+2 회담’을 제안한 것을 두고도 합당 시기를 늦추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원 대표는 10일 페이스북 글에서도 “선거 혼란을 안겨드린 연동형 비례제도의 폐지를 위한 여야 대표 회담(2+2)을 제의했다. 민주당의 호응을 기다리겠다”고 강조했다.

4ㆍ15 총선에서 19석을 거둔 미래한국당이 ‘무소속 당선인’(홍준표ㆍ권성동ㆍ윤상현ㆍ김태호) 영입, 국민의당(3석)과 연합 등의 방법으로 20석을 만들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는 얘기도 끊이지 않고 있다. 독자 교섭단체를 구성할 경우 미래한국당이 원내 3당으로 21대 국회 원(院) 구성 협상, 국고보조금 배분 등에서 이점을 노릴 수 있다는 등의 이유 때문이다. 미래한국당이 독자 교섭단체를 구성할 경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 추천위원(7명) 가운데 야당 추천몫(2명)을 독점, 6명이 찬성해야 하는 공수처장 후보 추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도 독자생존설의 근거가 되고 있다.

한영익 기자 hanyi@joogn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