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시론

‘코로나 국난’과 최재형 선생 순국 100주년의 의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작가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작가

7일은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순국 100주년 날이다. 선생은 1860년 함경도 경원에서 노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9세에 탐관오리의 학정과 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가족들과 두만강을 건넜다. 11세에 선한 러시아 선장 부부에게 입양돼 6년 동안 배를 타고 세계를 돌면서 ‘글로벌 청년’으로 다시 태어난다.

재산과 생명까지 조국 위해 헌신 #‘최재형 정신’으로 코로나 이기자

유창한 러시아어와 뛰어난 상술로 연해주에서 군납업으로 큰 부자가 된다. 하지만 쌓은 재산을 개인적으로 쓰지 않고 나라 잃은 동포들을 위해 베풀어 현지 한인들로부터 ‘페치카(벽난로)’로 칭송받았다. 선생은 현지에 32개의 학교를 세워 인재를 육성하고, 대동 공보를 인수해 동포 사회를 계몽했다.

1904년 러·일 전쟁 당시 러시아 해군에 물품을 조달하면서 선생은 일본의 야욕을 간파한다. 그 후부터 선생은 자신의 모든 재산을 쏟아 이위종·이범윤·안중근 등과 동의회를 조직했다. 막강한 러시아 인맥을 활용해 현지에서 의병 투쟁을 지원했다.

안중근 의사가 1909년 하얼빈 의거 때 쓴 권총을 사 주고 자신의 집에 사격연습 장소를 제공했다. 물심양면 지원 덕분에 하얼빈 의거는 성공했고 선생은 국제변호사를 안 의사에게 보낸다. 일제에 의해 안 의사가 순국하자 선생은 안 의사 가족을 돌본다.

일제가 연해주 독립운동의 근거지를 공격하면서 발생한 1920년 4월 참변 때 선생은 일본의 총탄에 희생됐다. 모든 재산과 열정, 심지어 목숨까지도 독립을 위해 초개같이 버렸다.

‘최재형 정신’은 무엇인가.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모든 것을 바친 희생정신과 나눔을 실천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이다. 이런 정신 덕분에 우리는 독립을 실현하고 6·25 전쟁의 폐허에서 불과 70여 년 만에 세계가 놀란 대한민국의 기적을 일궈냈다.

지금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엄청난 국난에 직면해 있다. 수많은 의사·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코로나 의병’을 자처하며 대구로 몰려가 전염병과 사투 중이다. 현대판 독립투사나 다름없다.

지난해는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이었다. 필자는 올해 초 독립운동가들에게 진 빚을 갚으려는 국민의 후원 물결을 확인했다. 선생의 손자(최 발렌틴)가 치료비가 없어 사경을 헤맨다는 소식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후원에 동참했다. 1000원을 보낸 초등학생부터 기업 후원까지 줄을 이었다. 최 발렌틴의 아들 최 표트르는 "도움의 손길을 보내준 대한민국 국민과 기업에 감사하다”며 편지를 보내왔다.

우리는 위기에 강한 민족이다. 지금의 국난도 최재형 정신을 잘 살리면 반드시 이겨낼 거라 확신한다. 지난해 연해주 우수리스크에 최재형 기념관이 개관했다. 하지만 코로나로 기념관이 공식 폐쇄된 3월 23일 이전부터 문이 자주 닫혀 탐방객들이 발길을 돌렸다니 문제다. 세금으로 만든 국외 사적지를 잘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최재형 순국 100주년인 올해 꼭 해야 할 일은 서훈 등급 상향이다. 임정에서 재무총장(장관)을 역임한 선생은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3등급)을 받았다. 연해주에서 같이 활동하고 임정 교통총장을 지낸 문창범은 한 등급 위(대통령장)라서 균형이 필요하다. 김구·안중근·윤봉길·이봉창 등은 대한민국장(1등급)을 받았다.

선생의 묘를 제대로 쓰는 일도 시급하다. 국립 서울현충원 부부 합동 위패비에 겨우 이름만 모셨는데 선생의 업적에 비해 너무 초라하다. 일제의 만행으로 유해조차 찾지 못했지만 유품이 있으니 단독 묘를 쓸 수 있을 것이다.

정부가 서울 효창공원을 독립공원으로 조성한다니 안중근 의사(허묘)와 임정 요인을 모신 효창공원에 최재형 선생도 같이 모시면 좋겠다. 순국 100주년을 계기로 국가보훈처 차원의 세심한 검토를 기대한다.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