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 정수에 유해물질 사용

중앙일보

입력

환경부가 정수효과가 거의 없는데다가 청색증까지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진 정수약품인 이산화염소를 지난 9년간 62개 정수장에 공급, 국민건강을 해치고 2백72억여원의 예산을 낭비해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 방용석(방용석) 의원은 한국환경수도연구소의 용역(96.12∼98.10) 결과를 근거로 27일 이같이 주장했다.

방 의원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89년 수돗물 파동이후 염소를 대체해 정수약품으로 환경부가 사용해온 이산화염소가 살균능력이 18.7%∼37%, 망간 제거능력이 3.9%, 페놀 제거능력이 11%, 조류제거 능력이 12.6% 밖에 안되는 등 효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90년부터 현재까지 전국 정수장에 공급된 이산화염소수 처리제는 1만781t, 272억7천900만원 어치에 달해 환경부가 결국 효과가 없는 이산화염소를 정수장에 공급시킴으로써 제조업체에 특혜를 제공한 의혹이 있다고 방 의원은 주장했다.

방 의원은 특히 "각 정수장에 공급된 이산화염소의 함량이 0.01∼0.09%에 불과하고 나머지 99.9% 이상은 청색증을 유발하는 이산화염소이온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수개월이내 영아들이 이산화염소이온을 섭취하면 이 물질이 헤모글로빈과 결합해 산소의 운반능력을 떨어뜨리는 청색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방 의원은 이와함께 "환경부가 이산화염소의 무해성과 효능이 뛰어남을 무리하게 입증하려다 정반대의 결과가 나오자 연구보고서를 조작해 보완보고서를 작성하는가 하면 원보고서는 기업체의 특허관련 내용이 포함됐다는 이유로 배포금지를 통한 특별관리를 하고있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