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아그라´ 특수 노린 상혼에 멍드는 국민건강

중앙일보

입력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의 시판을 앞두고 대한약사회가 의약분업 시행전임을 빌미로 병의원에서 의사의 처방없이 약국에서 약사의 투약으로 유도하려는 목적아래 비아그라의 부작용을 과소평가하고 있어 국민건강에 위해를 끼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성기능장애 환자가 약 18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는 가운데 대한약사회는 ´발기부전 치료제의 합리적 사용에 대한 입장´표명을 통해 비아그라를 "발기부전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 안전하게 투약될 수 있는 약"이라며 안전성을 강조한 반면, 부작용에 대해서는 극히 특수한 경우라는 전제아래 "심장이나 간에 큰 문제가 있는 환자등 기질적으로 문제가 있는 극히 일부의 환자에게 나타나는 정도"라며 축소하고 있어 약국을 찾는 성기능장애환자들이 비어그라 복용으로 겪을 수 있는 부작용을 외면하고 있다.

대한약사회는 이 입장표명을 통해 의약분업 시행 후에는 의사의 처방아래 약국에서 투약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일반론적인 전제를 달았으나, 비아그라의 투약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은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약사의 책임아래 약사의 전문적 상담과 조언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투약하고 문제가 되는 환자는 의료기관으로 인도해 주는 기능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만약 극히 일부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때문에 약국의 투약을 제한한다면 비아그라 뿐만 아니라 고혈압약·당뇨병약·협심증약·동맥경화증약들에게도 모두 적용시켜야 하며 현재 약국에서는 독극물도 안전한 관리아래 판매할 수 있음을 예로 들며 억지주장을 펴고 있다. 또 현재 가짜 비아그라가 폭리를 통해 팔리고 있는 상황에서 비아그라의 투약을 억제하면 이런 암시장이 더욱 활개쳐 일반국민에게 폐해를 끼칠 것이라며 약국에서 약의 전문가인 약사의 책임아래 복약지도를 통해 성기능부전 환자들에게 합법적으로 투약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조명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