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눈썹 파마약, 관련 기준 없어…물집·화상 가능성 주의"

중앙일보

입력

속눈썹 시술 이미지. [연합뉴스]

속눈썹 시술 이미지. [연합뉴스]

속눈썹 연장 효과가 있는 '속눈썹 펌'(속눈썹 파마) 제품에 관한 분류·물질 등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판매 중인 속눈썹 파마약 17개 제품의 안전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모든 제품에서 0.7∼9.1%의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가 검출됐다.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는 두발용과 두발염색용, 체모 제거용 등 3가지 유형의 화장품 중에서도 일부 용도 제품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이 허용된 물질이다.

퍼머넌트 웨이브와 헤어 스트레이너 제품에는 11%, 염모제는 1%, 제모제에는 5%까지 사용이 허용된다. 이 물질은 민감한 소비자가 접촉했을 때 피부에 물집이 생기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고 심하면 습진성·소포성 발진이 발생한다.

유럽연합(EU)과 캐나다에서는 속눈썹 파마약을 화장품으로 분류하면서 전문가용에만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함량을 최대 11%까지 허용한다. 하지만 국내 화장법에서 속눈썹 파마약은 따로 화장품 유형으로 분류돼 있지 않다. 두발용, 눈 화장품 제품 유형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이번 조사 대상 제품 중 전문가용으로 기재된 11개 제품의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함량은 EU와 캐나다의 허용 기준을 넘지는 않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들 제품을 온라인 등에서 누구나 쉽게 살 수 있어 전문가용 제품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게 소비자원 지적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원은 국내에서도 속눈썹 파마약을 화장품으로 분류하고 해당 제품의 치오글라이콜릭애씨드 사용 제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현행 화장품법을 개정해 내용량이 10㎖(g) 이하인 소용량 화장품에도 '사용 시 주의사항'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속눈썹 파마약이 안구나 눈 주변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고 눈에 들어갔을 경우 바로 물로 씻어내라고 당부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