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 '노출병원 공개'가 추가 환자 막았다

중앙일보

입력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사태 당시 환자 노출 병원명을 공개한 것이 추가 환자 발생을 막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단국대 노진원?고려의대 박기수 교수, 정보공개 영향 분석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감염병 확산 방지 입증”

노진원 단국대 보건행정학과 교수와 박기수 고려의대 환경의학연구소 연구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염병 예방 및 통제에 대한 정보공개 정책 효과: 대한민국의 2015년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란 논문을 3일 발표했다.

[사진 연합뉴스TV 제공]

[사진 연합뉴스TV 제공]

연구진은 메르스 첫 환자가 발생한 2015년 5월 20일부터 환자 발생이 종료된 7월 5일까지 환자 발생 추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메르스 노출 병원명을 공개한 6월 7일 이후 환자 발생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정부는 메르스 발생 18일 만에 확진 환자가 발생한 6곳과 경유한 18곳 등 24곳의 병원 이름을 전면 공개했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환자 발생 추이. 병원명을 공개한 7일 이후 환자 발생이 줄어드는 걸 알 수 있다. [자료 단국대 제공]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환자 발생 추이. 병원명을 공개한 7일 이후 환자 발생이 줄어드는 걸 알 수 있다. [자료 단국대 제공]

연구진은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공개는 단순히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차원을 넘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고 통제하는 기능까지 있음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보 공개와 관련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정책이 역학적 방역 수단과 동일하게 감염병 통제 및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국내 연구에서 처음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또 “당시 사회경제적 피해 규모가 20조원에 이르렀다는 것을 감안하면 정보 공개가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는데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논문은 온라인 과학 학술지인 IJERPH에 실렸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