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北 성탄절은 휴일 아니고 업무일…유심히 보고 있다”

중앙일보

입력

탄도미사일 발사 과정을 지켜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최근 한반도 상공을 정찰한 미국 공군 정찰기 2대. [노동신문·미 공군]

탄도미사일 발사 과정을 지켜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최근 한반도 상공을 정찰한 미국 공군 정찰기 2대. [노동신문·미 공군]

북한이 미국에 ‘크리스마스 선물’을 예고한 가운데 크리스마스를 하루 앞두고 정부도 관련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군 당국자는 24일 “한미 공조 하에 북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군은 현재 미군과의 긴밀한 공조 하에 북한의 주요 핵·미사일 시설 등을 면밀하게 감시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미군도 한반도 상공에 대한 정찰 비행을 강화하는 등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북한에서 성탄절은 (휴일이 아닌) 업무일”이라며 “(북한의 움직임을) 유심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오늘은 김정일 최고사령관 추대 기념일”이라며 “북한은 1991년 12월 24일 김정일을 최고사령관으로 추대할 때 당 전원회의를 연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태성 북한 외무성 미국 담당 부상은 지난 3일 담화에서 “‘크리스마스 선물’을 무엇으로 선정하는가는 전적으로 미국의 결심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북한이 성탄절을 전후해 위성을 얹은 장거리 로켓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는 등 도발을 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최근 들어선 북한이 서해위성발사장(동창리)에서 두 차례 ‘중대한 시험’을 했다고 발표하면서 중·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등 군사적 도발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긴 했지만, 아직 굵직하고 구체적인 군사적 동향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북한이 ICBM 시험 발사 등 ‘레드라인’을 단번에 넘기보다는 비핵화 협상 중단, 핵전력 강화 등을 새로운 노선을 천명하고 대미 압박수위를 높여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정부는 북한의 신년 대내외 주요정책 방향이 결정될 노동당 전원회의가 크리스마스 당일 열릴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북한은 이달 초 관영매체 보도를 통해 당 전원회의를 ‘이달 하순’ 열고 “조선혁명 발전과 변화된 대내외적 정세의 요구에 맞게 중대한 문제들을 토의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회의에서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 협상 실패 가능성에 대비해 예고해온 ‘새로운 길’의 윤곽도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