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 욱일기가 왜요? 의미 모르는 외국인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김효경 스포츠팀 기자

김효경 스포츠팀 기자

야구 국가대항전 프리미어12 수퍼라운드 한·일전이 열린 16일, 일본 도쿄돔 관중석에서 욱일기(旭日旗)를 들고 있던 50대 남성을 목격했다. 스포츠 현장 취재만 10년이 넘었지만, 경기장에서 욱일기를 직접 본 건 처음이다. 그에게 다가가 “한국에서 온 기자인데 이야기 좀 하고 싶다”고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그는 사진 촬영도 거부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국제야구소프트볼연맹(WBSC)에 욱일기가 경기장에 등장한 데 대한 제재를 요청했다. WBSC 측은 “현재 소요나 물리적 충돌이 있는 게 아니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도 욱일기를 허용했기 때문에 특별한 조처를 내리기 어렵다”며 “욱일기가 중계방송에 잡히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만 대답했다.

일본은 “욱일기가 고대부터 쓰였다”고 주장한다. 17세기부터 사용된 건 확실하다. 욱일기가 ‘극우’나 ‘군국주의’를 직접 상징하지 않는다 해도, 19세기 이후 일본군이 아시아 국가를 침략할 때 사용했던 건 확실하다. 지금도 일본 자위대가 사용한다. 이런 ‘욱일기’와 관련한 역사적 맥락을 국제 사회가 잘 모른다. 프리미어12 현장에서 만난 대만 SETN 샤오보상 기자는 “대만에선 욱일기를 잘 모른다. 모든 한국인이 욱일기 의미를 알고 있냐”고 되물었다. 욱일기 문제를 제기하는 건 한국과 중국, 북한 정도다.

지난 17일 프리미어12 수퍼라운드 한·일전에서 욱일기를 들고 있는 관중. [연합뉴스]

지난 17일 프리미어12 수퍼라운드 한·일전에서 욱일기를 들고 있는 관중. [연합뉴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욱일기를 규제하는 스포츠 국제기구·단체도 거의 없다. 내셔널리즘이 강하게 드러나는 축구 정도가 규제한다. 스포츠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데 반대하는 국제축구연맹(FIFA)의 노력으로 축구장에선 욱일기를 볼 수 없다. IOC는 FIFA와 달리 내년 도쿄올림픽 때 관중의 욱일기 사용을 막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12일 영국 가디언 인터넷판에는 일본 외무성 명의로 ‘욱일기는 제국주의 상징이 아니다’ 제하의 기고문이 실렸다. 이 매체는 앞선 1일 미국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알렉시스 더든 교수의 ‘공포의 역사가 있는 일본의 욱일기 사용이 2020 도쿄 올림픽에서 금지되어야 한다’는 칼럼을 게재했다. 욱일기를 둘러싼 한·일의 치열한 장외여론전이다.

막을 수 없다면 차라리 더 떠들자. 욱일기에는 나치의 하켄크로이츠와 같이, 많은 이들의 고통과 그 역사가 담겨 있다는 걸 더 널리, 더 소리 높여 알리는 거다. 민간 차원에선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 등이 꾸준히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등도 유관 국제 스포츠 기구에 문제를 제기했다.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입을 다물면 안 된다. 귀찮게 해야 한다. 도쿄올림픽 개막까지 248일. 욱일기 문제는 더 지속적으로 더 시끄럽게 제기해야 한다.

김효경 스포츠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