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유엔대사 “한반도 긴장, 미국 도발·한국 이중성 탓”…IAEA “北핵활동 우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 [연합뉴스]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 [연합뉴스]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가 11일(현지시간) 미국의 정치·군사적 도과 한국의 이중적 행동 때문에 북·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주장했다. 또 북·미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이행을 미국 측에 촉구했다.

AP통신에 따르면 김 대사는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 관련 유엔총회에서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의 북·미 정상회담 이후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면서 “한반도 정세는 긴장 악화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전적으로 미국이 자행한 정치적·군사적 도발에서 기인한다”고 말했다.

김 대사는 이와 관련해 “지난해부터 북한은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선의로 노력해왔다”면서 “북한이 지난 20개월간 핵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실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평화와 안보를 공고히 할 수 있는 열쇠는 지난해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이 채택한 공동성명의 이행”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사는 또 최근 경색돼 있는 남북관계의 책임을 남측으로 돌렸다. 김 대사는 “(남북관계가) 현재 주요 이행단계에도 이르지 못한 채 정지상태에 있다”면서 “이는 군사 대비태세를 강화하면서 평화 이니셔티브를 제시하는 남한 당국의 이중적 태도에 기인한다”고 주장했다. 한국 정부가 평화의 손짓을 내밀면서도 이면에선 군사 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날 총회에 참석한 코넬 페루타 IAEA 사무총장 대행은 “북한의 핵 활동이 여전히 심각한 우려를 자아낸다”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명백히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페루타 대행은 “IAEA는 위성사진 등을 통해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계속 감시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유엔의 의무를 준수하고 IAEA와도 즉각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