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A 파동' 윌슨 부시家와 악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아버지 부시 밑에서 일했던 한 외교관이 아들 부시를 최대 곤경에 빠뜨리고 있다.

백악관이 중앙정보국(CIA) 요원의 신분을 보복 차원에서 누설했다는 이른바 '리크(leak.누설) 게이트'가 계속 확대되면서 사건의 당사자인 조셉 윌슨(53) 전 가봉 주재 대사가 워싱턴 정가의 최대 관심 인물로 떠올랐다.

윌슨은 자신의 부인인 발레리 윌슨(40)이 CIA요원임을 누설한 것은 백악관이라고 주장해 리크 게이트를 불러왔다.

백악관이 이라크전을 강행하기 위해 '이라크가 니제르로부터 우라늄을 사려 한다'는 가짜 첩보를 사실이라고 발표한 것을 자신이 비판하자 부인의 신분을 언론에 흘려, 보복했다는 것이다.

윌슨은 아버지 부시 대통령 시절인 1990년 이라크 주재 미 대사관의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1일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그해 말 걸프전이 임박하자 사담 후세인은 "대사관 내 미국인들을 넘기지 않으면 처형하겠다"고 미 대사관에 알렸다. 그러자 윌슨은 기자들에게 브리핑을 하면서 넥타이 대신 밧줄을 목에 걸고 나왔다. '처형할 테면 해 봐라. 나는 미국민을 본국으로 보내겠다'는 표시였다.

이 때문에 그는 아버지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용기있는 지도력을 보였다"는 칭찬까지 받았다.

그러나 그는 다음 대선에선 부시 대통령의 축출을 위해 존 케리 민주당 상원의원을 지지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한편 스콧 매클렐런 백악관 대변인은 1일 "백악관은 신분 누설과 관계가 있을 수 있는 각종 전화 기록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매클렐런 대변인은 또 "법무부가 (백악관 인사들을 상대로) 거짓말탐지기 조사에 나설 경우 전폭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