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쓴 논개 생가 현판 ‘단아정’ 철거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북 장수군 장계면 논개생가지 정자인 ‘단아정(丹娥亭)’에 쓰여진 현판. [뉴스1]

전북 장수군 장계면 논개생가지 정자인 ‘단아정(丹娥亭)’에 쓰여진 현판. [뉴스1]

전북 장수의 논개 생가 부근에 걸려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친필 정자 현판과 표지석이 철거될 전망이다.

17일 전북 장수군에 따르면 의암주논개정신선양회는 장영수 장수군수와의 면담을 통해 장계면 주논개 생가지 정자의 현판과 이를 설명하는 표지석 철거 협조를 요청했다.

군은 여론과 현판철거추진대책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하고 선양회의 협조 요청을 받아들여 철거를 추진할 예정이다.

김순홍 선양회 회장은 “논개성역화와 전 전 대통령과 연관성이 없고 진정한 논개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서는 현재 현판을 철거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된다”며 “현재 현판과 비석을 철거하고 새롭게 현판을 제작하거나 새 명칭으로 변경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 군수는 “선양회의 올바른 역사관과 판단을 존중한다”면서 “향후 현판과 비석 철거 및 설치 등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지역의 역사바로세우기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단아정은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논개 생가지를 지나 오른편에 위치한 연못의 정자다. 정자 현판의 ‘丹娥亭’(단아정) 글씨는 전 전 대통령이 퇴임 후인 1999년 10월에 썼다.

정자 앞 표지석에는 “제12대 전두환 대통령이 1986년 생가를 복원하고 정자에 단아정이란 친필을 남겨 그 뜻을 기리고자 하였으니 그 얼이 높고 선양되어 영원히 빛날 것이다”라고 기록돼 있다.

지역 시민단체와 일부 군민은 “군부 독재자가 쓴 치욕적인 현판 글과 표지석”이라며 서명 운동을 펼치는 등 철거를 촉구해 왔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직접 쓴 글씨로 논란을 빚은 전북 장수의 논개 생가 인근 정자 현판과 표지석. [사진 장수군]

전두환 전 대통령이 직접 쓴 글씨로 논란을 빚은 전북 장수의 논개 생가 인근 정자 현판과 표지석. [사진 장수군]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