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 람 홍콩 장관, 시위대 만났지만…"송환법 완전 철폐 어렵다"

중앙일보

입력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27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27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홍콩에서 '범죄인 인도법'(송환법)이 촉발한 반정부·반중국 시위가 경찰의 실탄 발포라는 전례 없는 충돌로 번진 가운데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젊은이들로 구성된 일부 시위대와 비공개 만남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시위대의 송환법 완전 철폐 요구에 "어렵다"는 기존 입장만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2030 시위대 20여명과 1시간 가량 회동 #시위대, 회동서 송환법 완전 철폐 요구 #람 장관, 시위대 요구 사실상 모두 거절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7일 람 장관이 전날인 26일 약 20여 명으로 구성된 20~30대 젊은 층과 비공개로 만났다고 보도했다. 지난 25일 홍콩 경찰이 시위대와 대치하는 상황에서 공중에 실탄을 발사하는 등 시위 분위기가 한층 격화한 직후 이뤄진 회동이다.

이번 람 장관과 젊은 시위대의 회동은 홍콩 차이완 지역 청소년개발센터(유스스퀘어)에서 약 1시간여 동안 진행됐다. 회동에 참여한 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들은 람 장관과 만나 송환법 완전 철폐를 요구했다고 한다.

SCMP는 소식통을 인용해 "시위대가 요구하는 이른바 5대 요구를 한꺼번에 충족할 필요는 없지만 '송환법 완전 철폐'와 '독립 조사위원회 구성'은 우선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홍콩 시위대는 정부에 송환법 완전 철폐와 더불어 경찰의 시위대 진압에 대한 중립적 조사기구 설치,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의 석방 및 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을 요구하고 있다. 람 장관은 지난달 9일 "송환법은 죽었다"(Bill is dead)고 선언하고 사실상 입법절차를 밟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혔지만 시위대는 ‘죽었다’는 표현은 법안의 완전한 폐기를 보장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시위를 이어왔다.

그러나 람 장관은 시위대의 송환법 완전 폐지 요구와 관련해 "송환법을 완전히 철회하기는 어렵다"며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SCMP는 람 장관이 이를 거부한 이유와 관련해 뚜렷한 설명은 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독립 조사위원회 구성 제안과 관련해서도 람 장관은 거부의 뜻을 나타냈다고 한다. 시위대가 과도한 무력을 사용해 홍콩 경찰이 압박을 받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시위대와 회동이 이뤄지긴 했지만 람 장관은 사실상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셈이다.

매튜 청 홍콩 정무부총리(정무사장)는 별도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갈등이 무엇인지 젊은이들이 왜 그렇게 급진적인지 알고 싶다"며 "'노란 조끼' 시위 후 1만여 번의 타운홀 미팅을 개최한 프랑스 정부를 참조해 대화에 나서고 싶다"고 말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