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기흥의 과학 판도라상자

공습의 공포와 욕망이 만든 열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김기흥 포스텍 교수·인문사회학

김기흥 포스텍 교수·인문사회학

누구에게나 유년시절 무의식에 각인된 공포는 존재한다. 특히 상상속의 공포가 현실이 되었을 때 그 공포의 기억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고 각인될 수밖에 없다. 개인적으로 내 몸에 끔찍스럽게 각인된 공포는 “적의 침공”이었다. 1983년 여름 야구중계 도중에 난데없이 울리는 사이렌 소리와 함께 들려온 “이 방송은 실제상황입니다. 공습경보를 발령합니다”라는 다급한 목소리는 소년의 공포를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공포에 질려 내달린 곳은 집의 옥상이었고 텅 빈 하늘을 보면서 소년은 삶의 끝을 생각했다. 한국전쟁의 극악한 공포를 경험한 아버지는 당신이 몰던 승용차를 팽개치고 1톤 트럭을 몰고 오셨다. 당시 아버지의 유일한 목표는 가족을 빨리 피난시키는 것이었으리라. 하지만 그 소년은 세월이 흐르면서 그 공포의 근원은 오히려 우리 안에 존재하는 욕망과 이기심에서 발생하는 삶의 부조리라는 걸 알게 되었다.

최근 갑자기 적의 침입을 알리는 경보음이 휴전선에 크게 울리고 있다. 이번에 등장한 적은 폭격기도 무장공비도 아닌 보이지 않는 병원체이다. 1920년대 아프리카에서 시작되어 야생 멧돼지를 통해 확산되는 아프리카 돼지열병 (ASF)은 과학자들에게는 골칫거리이다. 이 질병을 일으키는 아스파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보다 덩치가 크고 복잡해서 백신개발이 어렵다. 일단 이 질병에 돼지가 감염되면 급성 열병을 일으켜 하루 이틀에서 일주일 안에 죽게 된다. 또한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르는 치명적 질병이다. 즉, 이 열병이 일단 확산되면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행히 이 열병은 돼지에게만 확산될 뿐 인간에게는 전염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았다.

과학 판도라상자 6/3

과학 판도라상자 6/3

그러나 1957년 포르투갈을 통해 유럽에 도착한 이 바이러스는 스페인과 프랑스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 질병을 완전히 퇴치하기까지 42년의 세월이 필요했다. 하지만 2007년 다시 그루지아를 통해 확산된 이 바이러스는 동유럽을 초토화시킨 뒤 마침내 중국에 도달했다. 지난 해 이 질병은 동북지역에서 발견된 후 불과 9개월 만에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일부에서는 중국전체 돼지수가 30%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지난주 북한의 자강도에서 이 열병이 발생했다는 소식은 한반도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정부는 북한과의 접경지역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바이러스의 남하에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최전선에 대한 철통같은 대비에도 예상치 못한 곳에서 이 병원체는 소리 없이 급습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대규모 질병의 유입과 확산은 인간의 욕망과 이윤의 극대화에서 비롯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비용절감을 위해 소에게 오염된 양의 뇌가 섞인 사료를 먹여 발생한 광우병이나 오염된 음식물을 돼지에게 주면서 시작된 구제역이 대표적이다. 메시지는 분명하다. 세계에서 가장 집약적 축산환경을 갖고 있는 한국에서 제대로 가열되지 않은 잔반에 바이러스가 유입된다면 그 결과는 치명적일 것이다.

게다가 중국에서 밀반입되는 음식물은 그 취약성을 더욱 증가시킬 것이다. 극단적 이윤추구에 기반을 둔 질병에 취약한 축산방식에 대한 근본적 개선이 없다면 소리 없이 발생하는 신종 감염병의 침공을 막을 길은 없다. 임박한 파국에 대한 공포는 언제나 우리의 몸에 각인되어 있다. 하지만 그 근원이 내부의 부조리임을 알게 될 때 비로소 그 공포에 맞설 수 있을 것이다.

김기흥 포스텍 교수·인문사회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