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통한 한국사 연구 대토론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사회과학적 문제의식과 문학적 관심의 접목을 통해 올바른 역사상을 획득하려는 색다른 시도가 이루어진다.
역사문제 연구소(소장 정석종)는 한국 근·현대사를 다루고 있는 문학작품 7편을 선정, 사회학자·역사학자·국문학자·문학평론가들이 참여하는 토론작업을 갖는다.
「문학을 통해 본 한국 근·현대사-소설과 사회과학의 대화」라는 주제로 7, 8월, 두달 동안 7회(매주 수요일 오후7시)에 걸쳐 열리는 이번 토론은 동 연구소의 한국사교실 12기로 기획됐다.
이 기획은 지식인의 사회인식, 분단체제의 확립과정,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 80년대 민주화운동, 80년대 노동운동, 분단과 미국 등 한국 근·현대사의 첨예한 쟁점들을 빠짐없이 다룰 예정이다.
토론기획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박경리의『토지』에 나타난 한국근대사에서의 민중의 생활과 민중운동(7월19일)-강사 임헌영(문학평론가). 토론 이리화(역사문제연구소 부소장). 참고 이근전『고난의 연대』, 김 학철『격정시대』.
▲최인훈의『광장』에서 나타난 1960년대 지식인의 사회인식(7월26일)-강사 김동춘(역문연 연구원). 토론 이재현(문학경론가).
▲조정내의『태백산맥』에 나타난 분단체계의 확립과정과 민중들의 저항(8월2일)=강사 김주환(현대사 연구가). 토론 김철(교원대 교수·국문학). 참고 이태『남부군』.
▲황석영의『객지』에 나타난 한국자본주의의 발전과 민중들의 소외(8월9일)-강사 허석렬(충북대교수·사회학). 토론 황광수(문학 평론가).
▲김인숙의『79, 80』에 나타난 1980년대 한국사회와 민주화운동(8월16일)-강사 정태헌(고대 박사과정·역사학). 토론 영월인(문학 평론가). 참고 홍희담 『깃 발』.
▲정도상의『천만개의 불꽃으로 타올라라』에 나타난 1980년대 한국사회와 노동문제(8월 23일)=강사 박준식(산업사회연구소 회원). 토론 김재용(문학 평론가). 참고 정화진『쇳물처럼』, 방현석『새벽출정』.
▲윤정모의『고삐』에 나타난 분단과 미국, 그리고 한국인·미국인(8월30일)=강사 김광식(현대사 연구가). 토론 백진기(문학 평론가).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