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노트르담 대성당 보며 기도하는 파리 시민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화재 현장을 지켜보는 파리 시민들. [트위터 캡처]

화재 현장을 지켜보는 파리 시민들. [트위터 캡처]

프랑스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15일 오후(현지 시간) 큰 불이 나 첨탑과 지붕이 무너졌다. 파리시와 프랑스 내무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50분쯤 파리 구도심 센 강변 시테섬에 있는 노트르담 대성당의 첨탑 쪽에서 시커먼 연기와 함께 불길이 솟구쳤다.

경찰은 즉각 대성당 주변의 관광객과 시민들을 시테 섬에서 대피 시켰다. 이날 화재는 공사를 위해 첨탑 주변으로 촘촘하게 설치했던 비계(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가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진화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파리시는 화재 원인에 대해 방화가 아닌 실화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 중이다. 아직 사상자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트위터]

[트위터]

첨탑이 무너지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본 파리 시민들은 충격에 빠졌다. 한 시민은 "지붕 전체가 사라졌다. 희망이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현장에 투입된 경찰들도 "모든 게 다 무너졌다"며 안타까워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이날 오후 8시로 예정된 대국민 담화를 취소하고 화재 현장으로 이동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트위터에 "우리의 일부가 불탔다"며 안타까워했다. 안 이달고 파리 시장은 현장에서 취재진에 "안에는 많은 예술작품이 있다. 정말 큰 비극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트위터에는 파리 시민들이 무너져가는 노트르담 대성당을 보며 기도하고 성가를 부르는 모습도 공개됐다. 이들은 노트르담 성당 화재 진화 장면을 한탄하며 밤새 지켜봤다. 파리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이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에 침통해 했다.

노트르담 대성당은 프랑스 고딕 양식 건축물의 대표작이다. 빅토르 위고가 1831년 쓴 소설 『노트르담의 꼽추』의 무대로도 유명하고, 1804년 12월 2일에는 교황 비오 7세가 참석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대관식이 열린 곳이기도 하다.

1163년 공사를 시작해 1345년 축성식을 연 노트르담 대성당은 나폴레옹의 대관식과 프랑수아 미테랑 전 대통령의 장례식 등이 열렸다. 중세부터 현대까지 프랑스 역사와 함께 한 곳이기도 하다.

하루 평균 노트르담 방문 관광객은 3만명 정도다. 파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명소로 꼽히는 곳이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