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가 스텔스 기술 베낄라…미국, 일본 F-35A 잔해 찾기 총력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F-35A

F-35A

미국이 고공 정찰기인 U-2 드래건레이디와 전략폭격기인 B-52 스트래토포트리스를 지난 9일 태평양에서 추락한 일본 항공자위대의 F-35A 스텔스 전투기 수색작전에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러가 먼저 건져갈까 우려 #U-2, B-52까지 투입해 수색

14일 항공기 비행을 모니터링하는 에어크래프트 스폿(Aircraft Spots)에 따르면 지난 13일 미국 공군의 U-2가 일본 미사와 공군기지 인근 상공에서 발견됐다. 이 정찰기는 한국 오산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것이라고 에어크래프트 스폿은 밝혔다.

또 미 공군의 B-52 2대가 지난 11일 괌 앤더슨 기지에서 떠난 뒤 일본 F-35A가 마지막으로 교신한 해역 인근으로 갔다. 지난 9일과 10일에도 각각 1대의 B-52가 앤더슨 기지에서 출격해 해당 해역으로 향했다. B-52가 사흘 연속으로 일본을 찾은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미군 항공기가 10일 태평양 해상에서 추락한 F-35A 전투기 수색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군 항공기가 10일 태평양 해상에서 추락한 F-35A 전투기 수색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군은 U-2와 B-52의 일본행을 외부에 공개하지 않았고, 비행 임무의 목적에 대해서도 침묵했다. 그러나 9일 일본의 F-35A가 추락한 해역으로 비행한 점으로 보면 수색작전에 이들 기체를 투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냉전 때 미국에서 소련 내부의 목표물까지 날아가 핵폭격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B-52는 수색·구조 작전에도 동원됐다. 지난해 6월 19일(현지시간) 태평양에서 6명이 탄 카누가 실종되자 미 공군은 그달 25일 B-52를 투입했다. 그런데 투입 3시간 만에 B-52가 실종 카누를 찾아냈다.

이와 별도로 미 해군은 해상초계기인 P-8 포세이돈과 이지스 구축함을 사고 해역에 급파했다.

미국이 이처럼 적극적으로 수색을 벌이고 있는 것은 중국과 러시아가 추락 F-35A를 먼저 발견할까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 공군의 데이비드 뎁퓨터 중장은 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요한 점은 만일 일본이나 미국이 추락 기체를 재빨리 회수하지 않는다면 미국의 미래 항공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자체 스텔스 전투기를 개발했지만 미국과의 기술 격차가 아직 크다. 이 때문에 중국과 러시아가 F-35A를 분석하려 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역(逆)공학을 통해 미국의 무기를 베낀 적이 있다. 소련의 최초 공대공 미사일인 R-3는 미국의 AIM-9B 사이드와인더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1958년 9월 24일 대만 공군의 F-86이 중국 공군의 미그(MiG)-17과의 공중전에서 미국이 지원한 사이드와인더 미사일 덕분에 대승을 거뒀다. 그런데 이 미사일 한 발이 불발한 뒤 중국 미그-17 1대의 후미에 그대로 꽂혔다. 중국은 불발 미사일을 소련에 제공했고, 소련은 이를 바탕으로 R-3를 설계할 수 있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