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구겨진 태극기 등 실수 조사 중…적정조치 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외교부는 최근 발생한 외교·의전 실수에 대해 관련자를 조사해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4일 열린 행사장에 구겨진 채 걸린 태극기. [연합뉴스]

외교부는 최근 발생한 외교·의전 실수에 대해 관련자를 조사해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 4일 열린 행사장에 구겨진 채 걸린 태극기. [연합뉴스]

외교부는 9일 최근 구겨진 태극기 등 부내 업무에서 잇따라 발생한 외교·의전 실수에 대해 관련자를 조사한 뒤 징계 등 적정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감사관실에서 관련 직원을 상대로 사실관계 확인 등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조사 결과에 따라 적정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4일 열린 제1차 한-스페인 차관급 전략대화 행사장에서 구겨진 태극기를 세워 비판을 받았다. 이에 대해 대변인실은 "태극기를 세탁한 후 접어서 보관하다보니 주름이 생겼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이 계속됐다. 이에 외교부는 사건이 있은 지 만 하루 만인 지난 7일 담당 과장을 보직해임했다.

지난달 19에는 보도자료를 배포하면서 라트비아 등 ‘발틱(Baltic) 3국’의 ‘발틱’을 남부 유럽인 ‘발칸(Balkan)’으로 오기했다. 외교부는 당시 라트비아의 지적을 받고서야 오류를 알게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유사한 실수는 지난해 11월 문재인 대통령이 체코를 방문했을 때에도 발생했다. 외교부 트위터 계정에 ‘체코’를 ‘체코슬로바키아’로 잘못 쓴 글이 올라온 것이다.

지난달 13일엔 말레이시아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말레이시아어가 아닌 인도네시아어로 인사를 건네 외교 결례 논란을 빚기도 했다.

외교부는 이러한 실수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조사 결과에 따라 '줄징계'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국자는 '상급자까지도 문책을 받을 수 있느냐'는 질문에 "사안의 엄중성에 따라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22일 간부회의에서 "프로페셔널리즘이 모자라 생기는 일에 대해선 응당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