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희 "비핵화 협상 중단도 검토…美 황금 기회 날려버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중단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고 러시아의 타스 통신이 15일 평양발로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최 부상은 이날 평양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우리(북한)는 미국의 요구에 굴복하거나 이런 식의 협상에 나설 의사가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또 "미사일 시험 발사와 핵실험 중단(모라토리엄)을 계속할지 말지는 전적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결정에 달렸다"며 "김 위원장은 짧은 기간 안에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그러나 김 위원장이 어떤 방식으로 발표할 지, 어떤 내용을 담을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지난 1일 새벽(현지시간) 제2차 북미정상회담 북측 대표단 숙소인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호텔에서 전날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렬된 것과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지난 1일 새벽(현지시간) 제2차 북미정상회담 북측 대표단 숙소인 베트남 하노이 멜리아호텔에서 전날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렬된 것과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공식 입장을 밝힌 건 지난 1일 심야 기자회견 이후 2주만이다. 최 부상의 이날 발언은 “이런 회담을 계속해야 하나”“(김정은 위원장이)북미 협상에 의욕을 잃었을 수 있다”고 했던 지난 1일 발언에 비해 수위가 높아졌다. 그가 미국 담당 부상이라는 점과 지금까지 비핵화 협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해 왔다는 점에서 그의 발언은 북한이 고심끝에 미국을 향해 내놓은 공식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최 부상은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지나치게 많은 요구를 했고 완강한 태도를 보였다"며 “분명한 것은 미국이 이번에 황금같은 기회(a golden opportunity)를 날려버렸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노이에서) 고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우리 국무위원장은 ‘대체 무슨 이유로 우리가 다시 이런 기차 여행을 해야 하겠느냐’라고 말했다”고 전한 뒤 “미국의 강도 같은(gangster-like) 태도는 결국 상황을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싶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번에 우리는 미국이 우리와는 매우 다른 계산을 갖고 있음을 매우 분명히 이해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선 폼페이오 장관 등에 비해 대화에 좀 더 적극적이었다며 “두 최고지도자 사이의 개인적인 관계는 여전히 좋고 궁합(chemistry)은 신비할 정도로 훌륭하다”고 최 부상은 묘사했다. 최 부상이 강한 어조로 미국을 향해 위협 수위를 높였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자제한 것은 양측 지도자 간의 친분과 신뢰는 해치지 않음으로써 대화의 끈은 유지하겠다는 여지를 남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그가 협상을 중단하겠다는 선언 보다는 ”고려중“이라는 표현을 쓰거나, 김 위원장이 '모라토리엄' 지속 여부를 결심할 것이라고 언급한 건 미국측의 반응을 지켜보겠다는 일종의 공넘기기 차원이라는 분석도 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은 여전히 미국과 대화를 통한 해결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며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나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 등이 언론이나 유엔을 상대로 대북제재 강화 움직임을 보이자 강하게 반발하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하지만 북한이 2주가량 고심한 끝에 내놓은 입장이라는 점에서 인공위성 발사 또는 ‘새로운 길’을 가기 위한 명분 쌓기 차원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