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복조치 포함 솔직한 협의…日, 외교 협의 재차 요청"

중앙일보

입력

강제징용 배상판결과 관련해 일본 고위 관료들이 ‘보복조치’를 언급하는 가운데 일본 정부가 한ㆍ일 청구권 협정상의 외교 협의를 재차 요구했다.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14일 오후 외교부에서 김용길 동북아국장과 한ㆍ일 국장급 협의를 갖고 이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국장급 협의는 정치권을 중심으로 일본 내 고조되는 강경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기 위한 자리였다.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 협의는 솔직한 분위기 속에서 대응조치를 포함한 양측의 입장을 솔직하게 얘기해 나눴다”며 “과거사 문제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긴 하지만 자주 소통하고 실질적으로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강제징용 배상문제 등 한일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로 들어서고 있다.[연합뉴스]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강제징용 배상문제 등 한일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로 들어서고 있다.[연합뉴스]

앞서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12일 중의원 재무금융위원회에서 “(강제징용 판결과 관련해)관세 뿐만 아니라 송금 정지, 비자 발급 정지 등 다양한 보복 조치가 있다”고 발언해 파장이 일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도 정례 브리핑 등을 통해 “정부로서는 모든 선택지를 시야에 두고 적절하게 대응하겠다”고 이에 동조하는 발언을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국장급 협의와 관련 “한·일 외교 당국은 양국 간에 갈등이 부각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공감대를 이뤘다”며 “한ㆍ일 고위급 교류 등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만들어가자는 이야기를 주로 했다”고 말했다. 일본 측의 대항 조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가 기업에 금전적인 손해가 발생하면 대응할 수 있는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실제 조치를 하겠다는 등의 이야기는 이번 협의에서 없었다. 그렇게 가서는 안 된다는 취지로 논의했다”고 말했다. 일본 관료들의 논조가 점점 강경해지는 데 대해서는 “일본 내 분위기를 대변하는 여러 가지 메시지가 다르지 않겠나”고 설명했다.
 당초 일본 측이 국장급 협의에서 청구권 협정상의 중재위원회(3조 2항) 소집을 요청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지만 이번 협의에서는 언급되지 않았다고 한다. 앞서 일본 정부는 2월 초 청구권 협정상의 외교 협의 개시를 요청했으나 한국 정부가 이에 응하지 않았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