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여성 "결혼 의향 있다" 45%…미혼남성도 58%에 그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혼 여성이 미혼 남성보다 결혼에 대한 거부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미혼 여성이 미혼 남성보다 결혼에 대한 거부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미혼 남성보다 미혼 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에 실린 '미혼 인구의 결혼 관련 태도' 보고서에 따르면 미혼여성 중 "결혼할 생각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의 비율이 절반에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사연은 미혼남성 1140명과 미혼여성 1324명을 대상으로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결혼할 의향이 있는 미혼남성은 58.8%였다. 미혼여성은 45.3%로 더 낮게 집계됐다. 2015년 당시 결혼 의사가 있는 미혼남성은 74.5%, 미혼여성은 64.7%로 조사된 것과 비교했을 때 큰 폭으로 하락한 수치다.

미혼남성의 경우 결혼을 가장 많이 하는 시기인 30∼34세에서 65.0%가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답해 조사대상 연령집단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혼여성은 25∼29세에서 55.7%가 결혼할 생각이 있다는 의사를 드러내 가장 높았지만, 30∼34세(47.4%), 35∼39세(31.6%), 40∼44세(23.8%) 등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결혼할 생각이 있는 비율이 낮아졌다.

또 현재 결혼할 생각이 없다고 답한 미혼남성은 18%에 그쳤지만, 미혼여성은 25.6%에 이르렀다. 미혼여성 4명 중 1명꼴로 현재 결혼할 의사가 없다는 의미다.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답변은 미혼남성 10.2%, 미혼여성 11.3%였다. 아직 결정하지 못했거나 모르겠다는 대답은 미혼남성 13.1%, 미혼여성 17.8%로 나왔다.

연구팀은 "우리 사회에서 미혼남녀, 특히 미혼여성이 결혼을 꺼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현상이라기보다는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운 현실과 좋은 일자리 부족, 주택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이런 사회경제적 상황에 정책적 지원으로 적극적으로 대처하면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