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지하철 등 서울 노후시설물 급격히 늘어나…안전 위협"

중앙일보

입력

한강교량 안전점검. [뉴스1]

한강교량 안전점검. [뉴스1]

서울 시내 30년 이상 된 다리·터널·지하철 등 노후시설물 비중이 현재 30%대에서 10년 뒤에는 50% 안팎, 20년 뒤에는 90%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이영환 선임연구위원은 13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노후인프라의 지진 재난안전 및 복원력 강화 포럼'에서 이런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노후시설물 기준을 준공 후 30년으로 봤을 때 2017년 국토교통부 자료 기준으로 서울시 도로 교량의 34%, 도로 터널 31%가 노후 시설물에 해당했다. 지하철은 2016년 기준 36%였다.

시간이 흐를수록 노후시설물의 비중은 급격히 느는 것으로 전망됐다. 10년 이내에 도로 교량은 60%, 터널은 49%, 지하철은 48%가 노후한다. 20년 이내에는 90% 이상이 노후시설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수도관로는 현재도 절반가량이 만들어진 지 30년이 넘었다.

그나마 대형 시설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관리되고 있지만 소형 시설물은 관리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이 연구위원은 "인프라의 급속한 고령화로 잠재적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그러나 지자체의 재정 부족으로 인해 일상적 유지관리 비용도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은 중앙 정부의 지원과 함께 인프라 관리를 신규 건설 중심에서 시설물 생애주기로 확장하고 필요하다면 소형 3종 시설물까지 전수 육안 검사와 정밀진단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노후 시설물이 지진 등 각종 재난에 취약한 점도 위험 요인으로 거론된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지진안전센터(가칭)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김기대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장은 "서울은 인프라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돼 큰 지진이 발생할 경우 피해가 극심할 수밖에 없다"며 "지진 재난 안전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진안전센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