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꼭 있어야 한다”는 기혼여성 50% 아래로 떨어졌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초산 산모 약 2명 중 1명은 제왕절개로 아이를 낳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앙포토]

초산 산모 약 2명 중 1명은 제왕절개로 아이를 낳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앙포토]

자녀를 반드시 둬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혼여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50%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 2명 중 1명은 자녀가 꼭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는 얘기다.

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공개한 ‘자녀출산 실태와 정책 함의’ 보고서는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ㆍ복지 실태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자녀 가치관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15~49세 기혼여성(1만1161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필요성, 자녀가 필요한 이유 등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49.9%로 나타났다. 2015년 조사 때(60.2%)와 비교하면, 10.3%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있는 것이 없는 것보다 나을 것이다’는 응답은 32.8%, ‘없어도 무관하다’는 16.9%로 나타났다.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는 응답은 2015년 조사(10.6%)와 비교하면 6.3%포인트가 늘었다.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기혼여성(9265명)에게 ‘자녀가 필요한 이유’를 물었더니 ‘가정의 행복과 조화를 위해’라는 답이 81.1%로 가장 많이 나왔다. ‘심리적 만족을 위해’가 15.6%로 뒤를 이었다. ‘가문(대)을 잇기 위해’(1.2%), ‘주변 사람들이 자녀를 갖는 분위기여서’(0.7%), ‘노후생활을 위해’(0.5%), ‘부모님이 원해서’(0.5%), 제사를 지내고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0.4%) 등의 응답은 저조했다. 연구팀은 “자녀가 필요한 이유는 경제적 혹은 수단적인 것보다 정서적인 것임을 보여 준다”고 분석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자녀의 필요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한 기혼여성(1896명)을 대상으로 자녀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를 물었더니 ‘아이가 행복하게 살기 힘든 사회여서’(25.3%), ‘경제적으로 여유롭게 생활하기 위해’(24.1%)라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그 뒤를 ‘자녀가 있으면 자유롭지 못할 것 같아서’(16.2%), ‘부부만의 생활을 즐기고 싶어서’(15.6%), ‘경제적으로 자녀 양육이 어려워서’(11.3%)가 이었다.

지난달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세택(SETEC)에서 열린 '아이올베이비페어'를 찾은 관람객들이 영·유아용 침대를 살펴보고 있다. 오는 27일까지 세택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임신·출산용품, 유모차, 젖병 등의 유아용품 등을 선보인다. 2019.1.24/뉴스1

지난달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세택(SETEC)에서 열린 '아이올베이비페어'를 찾은 관람객들이 영·유아용 침대를 살펴보고 있다. 오는 27일까지 세택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임신·출산용품, 유모차, 젖병 등의 유아용품 등을 선보인다. 2019.1.24/뉴스1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기혼여성 뿐 아니라 미혼여성사이에서도 확산하고 있다. 보사연이 20∼44세 미혼 남녀 약 2500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필요성을 물었더니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생각하는 미혼여성은 48.0%로 나타났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