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에 '광주형 일자리' 2·3탄 나온다…홍남기 "2월말까지 기준 만들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광주형 일자리’ 같은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키기로 했다. 이런 일자리 모델을 적용할 기초 혹은 광역자치단체 2~3곳은 올 상반기 내에 지정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기자 간담회에서 “2월 말까지 광주형 일자리의 일반 모델을 만들어 공개할 것”이라며 “현재 ‘지역 상생 일자리 모델’이란 가칭을 붙이고 원칙ㆍ내규ㆍ범위, 주무부처 등을 정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홍 부총리는 “광주형 일자리처럼 일자리 만드는 사업을 하려면 중앙정부와 지자체, 노사가 같이하는데 기획재정부가 할 일이 많다”며 “예산지원, 세제 지원 등 기재부가 할 수 있는 메뉴를 정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역 상생 일자리 모델 가이드라인이 나오면 지자체에서 이를 토대로 사업을 만들어 신청토록 한 뒤, 심사를 거쳐 상반기 내에 2∼3개 지자체에 모델을 적용할 것”이라며 “기초나 광역 자치단체 모두가 해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홍 부총리는 1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가능성이 크다면서 2월에 관계부처가 모두 동참해 수출촉진대책을 내놓겠다고 예고했다. 그는 “반도체를 포함한 일부 품목은 굉장히 어렵지만 나머지 품목은 괜찮고, 지역도 중국 수출은 많이 빠졌지만 다른 나라에 대한 수출은 나쁘지 않다”라며 “(수출 동향) 특징을 잘 봐서 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홍 부총리는 수출 감소가 한국에 국한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홍 부총리는 “전반적으로 글로벌 무역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우리도 어려움을 겪는 것”이라며 “이런 어려움이 1월로 끝나고 2월부터는 다시 제대로 된 페이스로 가도록 해야 수출의 성장 기여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출촉진대책과 관련해서는 “기업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수출하면서 금융지원을 받는 것”이라며 “매출채권을 담보로 해서 대출을 하려고 하면 은행에서 굉장히 어려워하는데, 담보성에 준할 정도로 명백한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대출을 해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달라고 금융위원회에 주문했다”고 말했다. 이 밖에 중소기업이 새로운 해외 바이어를 구할 수 있도록 전시회나 해외사절단과 같은 측면 지원을 해주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