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한국군 함정, 관제용 레이더로 자위대 초계기 겨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 해군 함정이 20일 화기(火器) 관제 레이더로 일본 자위대 초계기를 겨냥했다고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방위상이 21일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 국방부는 우리 함정은 정상적인 작전 활동으로 레이더를 운용했으며 자위대 초계기를 겨냥했다는 것은 일본 측의 오해라고 설명했다.

韓 해군, "北 조난 선박때문에 레이더 가동, 일본이 오해"

21일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이와야 방위상은 이날 저녁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 해군 함정이 20일 오후 3시경 이시카와(石川)현 노토(能登)반도 인근 해상에서 레이더로 해상자위대의 P-1 초계기를 겨냥했다고 말했다.

이와야 방위상은 “화기 관제 레이더 겨냥은 실제 화기 사용에 앞서 실시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없는 사태를 초래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위”라면서 “본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한국측에 강력 항의하고 재발방지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일본 해상자위대 P-1 초계기. [연합뉴스]

일본 해상자위대 P-1 초계기. [연합뉴스]

일본 언론들도 이와야 방위상의 기자회견 내용을 톱뉴스로 전하며 이번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NHK는 메인 뉴스의 세 번째 주제로 이번 사건을 다뤘다. 복수의 방위성 간부는 이 방송에서 “한국군과의 사이에 이러한 문제가 일어난 적은 없었다”며 “한국군 측의 의도를 자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군은 “일본측의 오해”라는 입장이다. 한 해군 관계자는 “이날 북한 조난 선박 때문에 레이더를 가동한 걸 일본이 오해했고, 이 점을 이미 일본 측에 설명했다”며 “이미 오전부터 레이더를 가동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일본을 겨냥하지 않았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도 출입기자단에 휴대전화 문자를 보내 “우리 군은 정상적인 작전 활동 중이었으며, 작전 활동 간 레이더를 운용하였으나 일본 해상초계기를 추적할 목적으로 운용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또 “우리 측은 위 사항에 관해 (일본 측에) 설명한 바 있으나, 추후 일본 측에 오해가 없도록 충분히 설명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 10월 국제관함식 욱일기 계양을 둘러싼 갈등에 이어 발생한 이번 문제가 양국 관계에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해군 관계자는 “우리 군이 자세한 설명을 했는데도 일본 방위상이 왜 이런 식으로 기자회견을 열었는지 모르겠다”며 당혹감을 드러냈다.
이영희·이근평 기자 misqui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